Surprise Me!

서울 택시 요금 인상 효과는?..."수요만 줄였다" / YTN

2023-04-16 360 Dailymotion

사회적 거리두기 해제…심야 택시 탑승 수요 증가 <br />배달·택배로 떠난 기사들…매일 밤 ’택시 대란’ <br />서울시, 요금 인상…"수입 보장해야 기사 돌아와" <br />법인택시 기사들은 요금 오른다고 수입 늘지 않아<br /><br /> <br />서울시는 기사들의 처우도 개선하고, 택시 대란을 해결해 시민들의 편의도 늘어난다며 큰 폭의 택시 요금 인상을 단행했습니다. <br /> <br />시행 두 달째, 결과적으로 '택시 대란'을 해소하긴 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시민들과 기사들의 불만이 켜켜이 쌓이는 이유는 뭘까요? <br /> <br />김태원 기자가 짚어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해 4월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되고 한동안 뜸해졌던 모임이 많아지면서 늦은 시간 택시를 타려는 사람도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코로나19 여파로 수입이 줄며 택시기사들은 이미 배달이나 택배 쪽으로 옮겨간 뒤라,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매일 밤 택시 잡기 대란이 벌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시는 떠난 택시기사들을 돌아오게 할 방법은 수입을 보장하는 데 있다고 보고, 지난 2월 요금 인상을 단행했습니다. <br /> <br />[서인석 / 당시 서울시 택시정책과장(지난해 9월) : 어떻게 하면 좀 공급을 늘려서 시민들이 택시를 선택할 기회를 드릴까 생각해서, 기본요금은 아까 앞에서 말씀드렸듯이 물가 상승률과 LPG 가스 상승률을 고려해서 (정했습니다.)] <br /> <br />정책은 효과를 거뒀을까? <br /> <br />개인 택시의 경우, 지난해 부제 해제에 힘입어 심야 시간에 3천여 대가 증가하긴 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법인 택시의 숫자는 요금 인상 뒤에도 큰 변화가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법인 택시 기사들은 매달 회사에서 일정한 급여를 받기 때문에 요금이 오른다고 손에 쥐는 돈도 늘지는 않아서 다시 운전대를 잡을 이유가 되기엔 부족한 겁니다. <br /> <br />요금 인상이 택시 매출 증가로 뚜렷이 이어진 것도 아닙니다. <br /> <br />지난 2월 한 달 동안 서울 법인택시의 하루 매출은 평균 20만 6천 원으로, 요금이 오르기 직전 두 달 평균보다 1% 증가하는 데 그쳤습니다. <br /> <br />또, 택시비가 부담스러워진 승객들은 더 저렴한 버스와 지하철을 탈 수밖에 없어서, <br /> <br />전체 운행 시간 중에 승객이 탑승한 시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실차율이 법인택시에서 10%p 가까이 떨어졌고, 영업 건수는 하루 24건에서 19건으로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, 서울시는 택시 요금 인상으로 공급엔 큰 영향을 주지 못하고, 대신 수요를 쪼그라뜨려서 '택시 대란'을 해소한 셈입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태원 (woni0414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417051329925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