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60세 이상 취업 사상최대…생산성 저하 우려도

2023-04-17 0 Dailymotion

60세 이상 취업 사상최대…생산성 저하 우려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인구 구조의 변화와 공공 일자리 확대로 60세 이상 취업자수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반면 30대와 40대 취업자는 감소 추세인데요.<br /><br />자칫 사회 전체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최덕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해 60세 이상 취업자 수는 585만 8,000명입니다.<br /><br />재작년과 비교해 45만 2,000명이 늘었는데, 1963년 관련 통계가 집계된 이후 한 해 증가 폭으로는 최대입니다.<br /><br />특히 증가 속도가 갈수록 가팔라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1987년 처음 100만명을 넘은 후 200만명이 되는 데는 14년이 걸렸는데, 300만명을 넘는 데는 11년, 400만명을 넘는 데는 5년, 그리고 500만명을 넘는 데는 3년밖에 걸리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노인이 늘어나는 인구 구조의 변화와 공공 일자리 확대의 영향으로 보이는데, 반면 30대 40대 취업자 수는 점점 줄고 있습니다.<br /><br />40대 취업자 수는 2015년부터 2021년까지 7년 연속 감소했다가 지난해 코로나 기저효과로 늘었지만 3,000명 증가하는데 그쳤습니다.<br /><br />30대 취업자도 2013년부터 2021년까지 9년 연속 줄었다가 지난해 4만6,000명 늘어난 수준이었습니다.<br /><br />30대와 40대 취업자 수를 합해도 50대 60대보다 약 86만명 적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"'근로자의 노령화'가 본격화되는 상황"이라며, 무엇보다 사회 전체의 생산성이 낮아지지 않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.<br /><br /> "교육 훈련이 1차적인 것일 거고. 자신의 창의성이나 열의를 발휘할 수 있는 직무 개발 같은 것도, 유연한 근로 같은 것도 더 확산이 돼야 할 것 같고."<br /><br />이와 함께, 인턴십 확대 등 청년 일자리 기회 확대, 여성의 경력 단절 완화 대책 마련, 제조업 기술의 계승과 발전 등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최덕재입니다. (DJY@yna.co.kr)<br /><br />#60세 #고령화 #취업자 #3040 #감소 #생산성 #인구구조_변화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