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하철 장애인 인프라 개선됐지만…"아직 갈 길 멀어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버스와 지하철 등에서 교통약자를 위한 인프라는 지속적으로 확충되고 있지만 여전히 이용이 쉽지 않은 게 현실인데요.<br /><br />오늘(20일) 장애인의날을 맞아 장애인단체들이 다시 사회적 관심을 촉구하며 시위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김장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70대 김현순씨는 일주일에 세 번 지하철역으로 출근합니다.<br /><br />시각장애인들의 지하철 역사 내 이동을 돕기 위해섭니다.<br /><br /> "시각장애인분들이 오시면요 안내입니다 말씀드리고요 팔을 내어 드립니다…잡으신 다음에 (전동)차를 태워드리고 앉게끔 해드리고 불편하지 않게…."<br /><br />하지만 실제로 이 역에서 안내도우미들의 손길을 받아 지하철을 타는 시각장애인은 하루에 2명 정도입니다.<br /><br />시각장애인들이 출퇴근 혼잡시간 지하철을 혼자 이동하기는 여전히 어려워 시각장애인 전용 콜택시 등 다른 교통수단 이용을 선호하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다리가 불편해 이동이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자동안전발판 설치도 늘고 있지만 아직 부족한 것이 현실이고, 청각장애인 안내를 위한 수어영상전화기도 역마다 보급되고 있지만 여전히 장애인 편의시설은 부족한 상황입니다.<br /><br />'장애인의 날'을 맞아 전장연 등 장애인단체들은 지하철 탑승시위와 함께 교통약자를 위한 관심과 지원을 거듭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 "포기하지 않고 지하철 승강장에서 외칠 겁니다."<br /><br />전장연은 또 "시혜와 장애인을 동정하는 장애인의 날은 거부한다"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서울시 등 정부 당국이 당장에 해결책을 제시하기는 쉽지 않고, 시위 때마다 걱정인 시민들의 불만만 쌓여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장현입니다.<br /><br />#교통약자 #이동권 #지하철 #장애인의날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