은행 등기이사 보수 주총서 심의…투명성 강화 추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올 초 은행들이 이자 장사로 성과급 잔치를 한다는 비판이 이어지면서 은행 성과급 체계 전반을 손보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성과급을 어떻게 산정하는지 투명하게 하는 게 핵심인데 이를 위해 경영진 급여는 주주총회 심의를 받도록 하는 방안이 추진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이재동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해 주요 금융그룹 회장들은 적게는 9억원에서 많게는 18억원의 보수를 받아 갔습니다.<br /><br />윤종규 KB금융그룹 회장 보수가 성과급 9억3,000만원을 포함해 18억4,000만원,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도 성과급 7억여원 등 15억3,000만원이었습니다.<br /><br />실적이 좋으니, 높은 보수를 받는 건 당연하지만, 산정 기준이 모호하다는 게 정부와 시민단체의 '성과급 잔치' 비판 이유였습니다.<br /><br /> "시장 상황이 금리가 급격히 인상된다는지 외부적인 요인 때문에, 그것을 성과로 해서 과도하게 가져간 것이 잘못이고…."<br /><br />금융당국이 추진 중인 해결 방안은 개별 등기이사 보수지급계획을 주주총회에서 심의하도록 한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이른바 '세이 온 페이'. 공기업 민영화로 경영진의 과도한 보상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던 영국,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사원과 임원과의 급여 격차가 커진 미국 등에서 시행 중인 제도입니다.<br /><br />등기임원은 물론, 집행임원까지 개별 보수총액을 공개하는 방안도 거론되는데, 한계도 있습니다.<br /><br /> "주주가 감시를 해야 되겠지만 가이드라인을 금융당국이 준다고 해서 준수할 의무는 없잖아요."<br /><br />금융당국은 은행 임원의 장기성과 보수 지급 기간을 3년에서 5년으로 늘리는 방안도 언급했는데, 다만 이들 조치가 소비자 편익으로 연결될지는 불분명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. (trigger@yna.co.kr)<br /><br />#금융위 #은행 #성과급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