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자, 그럼 반대로 윤 대통령의 발언을 반길 미국 반응 알아보겠습니다. <br> <br>그동안 우크라이나 군사 지원을 지속적으로 요청을 해 왔었죠. <br> <br>워싱턴 현지 연결합니다. 이은후 특파원, 이 특파원이 미국 국방부에 직접 물어봤죠?<br><br>[기자]<br> 네, 우크라이나에 무기 지원 가능성을 열어놓은 윤석열 대통령의 언급에 대해 미국 국방부에 입장을 물었습니다. <br> <br> 환영한다는 입장이 즉각 돌아왔는데요, "나토와 우크라이나 국방연락그룹에 대한 한국의 기여를 환영한다"는 내용이었습니다.<br> <br> 우크라이나 국방연락그룹은 우크라이나 지원을 위해 미국이 이끄는 서방 국가 회의체입니다. <br> <br> 미국이 우리나라에게 지원을 압박하는 핵심 이유는 바닥 나는 탄약 재고량입니다. <br> <br>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와의 전쟁에서 155mm 포탄을 하루 평균 2천700발 넘게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요, <br> <br> 미국 전문가 그룹에선 일찍부터 우리 탄약 물량에 관심을 두고 있었습니다. <br> <br>[빅터 차 / 미 전략 국제연구소 한국 석좌(현지시간 어제)] <br>"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탄약을 가진 나라 중 하나입니다.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제공하는 나토 회원국의 재고를 지원하는 방식도 가능합니다. " <br> <br> 미국과 폴란드에 탄약을 판매한 것으로 보고 러시아는 이미 한국을 교전국으로 간주하고 있다는 평가도 나왔습니다. <br> <br> 최근 유출된 미 국방부 문서에서도 미국의 압박한 정황이 드러났는데요, <br><br>"미국의 탄약 제공 요청에 응한다면 미국이 최종 사용자가 되지 않을 것"이라는 대화가 우리 국가안보실 내에서 오간 내용이 포함됐습니다. <br><br> 윤 대통령이 무기 지원 가능성을 열어두는 언급을 하면서 이달 말 미국 국빈방문을 전후로 관련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이은후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 : 정명환<br /><br /><br />이은후 기자 elephant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