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전세사기 사건이 이젠 수도권을 넘어 대전과 부산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보증금을 돌려주지 않고 잠적한 집주인, 또, 발만 동동 구르는 세입자. <br><br>많이 본듯한 상황이 반복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배영진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부산의 한 빌라. <br> <br>엘리베이터에 쪽지가 붙었습니다. <br> <br>전세 계약 만료일이 다가오는데 집주인과 연락이 안된다며 주의를 당부합니다. <br><br>이 빌라 주인은 70대 정모 씨와 60대 박모 씨 부부. <br> <br>이달 초 연락을 끊고 종적을 감췄습니다. <br> <br>[피해 세입자] <br>"소식조차 모르고 소재지 파악도 안 되고 있으니까 그냥 마냥 하루하루 기다리고 있죠. 계약하기 전 처음으로 돌아가고 싶어요." <br><br>부부가 소유한 빌라와 오피스텔 건물은 현재 파악된 것만 4동, 이곳의 89세대 세입자가 낸 전세보증금은 54억 원으로 추산됩니다. <br> <br>대부분 사회 생활을 갓 시작한 20대나 신혼부부들입니다. <br> <br>[피해 세입자] <br>"제가 19살 때부터 일했거든요. 이때까지 일한 돈을 모두 잃고 심지어 빚이 생겼으니까 너무 슬픈 상황이죠.“ <br> <br>오늘 계약이 만료된 세입자 1명은 끝내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해 이사도 못 가는 처지가 됐습니다. <br> <br>[피해 세입자] <br>"4월 4일 회사를 퇴사를 했어요. 그런데 집주인이 도망갔고, 다시 회사에 부탁을 해서 재입사 해서 일을 하고 있고, 한번에 돈을 모두 잃었으니까요." <br> <br>대전에서도 30대 집주인이 전세보증금을 돌려주지 않는다는 고소가 20여 건 이어지면서 경찰이 수사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현재까지 55세대가 55억대 보증금 피해를 입게 된 것으로 추정됩니다. <br> <br>[대전 전세 사기 피해자] <br>"(집주인) 통장하고 보증금이 있다고 했던 전셋집을 대상으로 제가 압류를 걸었어요. 확인해 보니까 통장에 돈이 1만 원도 없었고. 보증금 2억 원이 있다고 했던 것도 거짓말이었고." <br> <br>집주인들은 대부분 세입자의 전세보증금으로 주택을 매입하는 무자본 갭투자를 악용했습니다. <br> <br>보증금을 돌려줄 능력이 없는데도 집값이 오를 거란 기대에 '보증금 돌려막기'로 버티다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배영진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김현승 박영래 <br>영상편집 : 이희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