인플레이션과 반도체 공급난으로 지난해 세계 자동차 시장은 위축됐지만 중국 자동차 회사들은 큰 폭으로 성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사상 처음으로 미국을 제치고 세계 시장 점유율 3위에 올랐는데, 전기차가 큰 역할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박홍구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중국이 압도적 내수시장 규모와 전기차 판매를 발판으로 세계 자동차 업계의 판도를 흔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중국에서 판매된 차량은 2천356만 대로 세계 자동차 시장의 40%를 차지합니다. <br /> <br />그중 45%, 약 천만 대가 중국산입니다. <br /> <br />테슬라를 제치고 전기차 시장에서 세계 1위에 오른 비야디는 지난해 성장률이 전년 대비 154%에 이릅니다. <br /> <br />[권은경 / 한국자동차협회 산업연구실장 : 테슬라 같은 고급차들도 팔리지만 저가형 전기차들이 상당히 많이 라인업이 넓어졌고 저렴한 전기차들이 많이 출하돼서 전체적인 볼륨이 많이 는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중국 차는 미국과 EU 시장에서는 맥을 못 췄지만 멕시코와 아세안에서 판매를 늘렸고, 서방 기업들이 철수한 러시아에서 빈틈을 파고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 결과 중국 업체들의 판매량은 1년 전보다 24% 늘며 유럽, 일본에 이어 3위에 올랐고 미국은 4위로 내려앉았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은 미국 시장 점유율이 사상 최고치인 10.7%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1년 전보다 판매 대수는 줄었지만 전체적으로 미국 시장이 8% 정도 역성장한 만큼 한국차 비중이 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이에 비해 일본 차는 전기차 대응 지연 등으로 도요타가 미국 시장 1위 자리를 GM에 내줬고, 혼다와 닛산 등도 25~30%의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자동차 업계는 세계적으로 환경규제가 강화되면서 올해도 중국 차의 공세가 거셀 것으로 예상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미국이 IRA로 확실한 방어막을 구축한 만큼 값싼 전기차를 앞세워 주로 동남아와 유럽, 남미 시장을 공략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우리 기업들은 미국과 유럽 시장에 맞는 현지 모델과 고급 차종을 개발하고, 전기차 해외 공장 건립도 서둘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박홍구입니다. <br /> <br />영상편집 : 강은지 <br />그래픽 : 홍명화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박홍구 (hkpark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421232258021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