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기차마저 미중 고래싸움에 새우등?…생산 늘릴 수 있을까 [탐사보도 뉴스프리즘]<br /><br />[오프닝: 이광빈 기자]<br /><br />시민의 눈높이에서 질문하고, 한국 사회에 화두를 던지며,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 가는 시작합니다! 이번 주 이 주목한 이슈, 함께 보시죠.<br /><br />[영상구성]<br /><br />[이광빈 기자]<br /><br />미국이 최근 전기차 보조금 카드에 이어 다시 엄격한 환경규제까지 꺼내들었습니다. 관련 국가들과 기업들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습니다. 미중 간 기술 패권경쟁이 반도체를 넘어 전기차, 배터리 분야로 빠르게 확대되는 양상인데요.<br /><br />글로벌 전기차 시장 전망과 스마트 모빌리티 사회와의 연관성, 우리 기업들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 등 고래 싸움을 즐겁게 관전할 수 있을 지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먼저 이준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미중 패권경쟁에 전기차 시장도 '지각변동' / 이준삼 기자]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전 세계 자동차 시장은 미국 환경당국이 발표한 '탄소배출 규제'에 술렁였습니다.<br /><br />2032년까지 차량이 배출하는 온실가스와 오염물질을 반 이상 감축하는 내용인데, 이렇게 되면 10년 뒤 미국에서 생산되는 차량 10대 중 7대는 전기차가 될 전망됩니다.<br /><br /> "(이번 조치로 거둘 수 있는 효과는) 4년 간 현재 미국 전체 교통 부문에서 온실가스 배출을 모두 없애는 것과 맞먹습니다. 전체적으로 예상되는 혜택은 1조 6천억 달러에 이릅니다"<br /><br />최근 발표된 인플레이션 감축법(IRA) 세부지침에 따라 보조금을 받게 된 차종도 모두 미국 브랜드로 채워졌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은 배터리 품질보증과 관련해서도 까다로운 기준을 제시하는 등 배터리 공급망 재편에도 의욕을 보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내막을 좀더 들여다보면, 역시 패권 경쟁국 중국을 견제하는데 초점이 맞춰져있습니다.<br /><br />현재 전세계 전기차 판매량 1위 기업은 중국업체(비야디)입니다.<br />전기차용 배터리 점유율로 중국업체 2곳의 점유율이 50%를 넘습니다.<br /><br />(작년 9월) "중국은 지금 제조업에서 우리보다 앞서 나가려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. 기본적으로 미국에서 사업을 하려면 거기(중국)서 하지 마세요."<br /><br />미국이 보조금과 환경규제로 이 같은 판도를 흔들고 나섬에 따라 관련 국가들과 기업들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.<br /><br />이미 2035년부터 내연기관차를 판매 중지키로 한 EU는 미국과의 밀착을 강화하고 나섰고, 일본도 전기차 배터리에 대해서는 보조금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미일 협정을 체결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의 반격 행보도 만만치 않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은 작년 12월 희토류 영구자석 제조기술의 해외 이전·유출을 금지한데 이어 전방위적 자원외교를 전개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대통령님은 중국인민의 오랜 좋은 친구로서 오랫동안 중국-브라질 친선을 추구하고 지지했습니다."<br /><br />리튬 확보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는 중국기업은 최근 아프간에 100억 달러 규모의 투자도 제안했습니다.<br /><br />더 첨예화된 미중 패권경쟁과 관련 국가들의 '합종연횡' 속에 전기차와 배터리 시장이 또 한번 지각변동을 맞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준삼입니다.<br /><br />[이광빈 기자]<br /><br />2032년까지 자국내 판매되는 신차의 3대 중 2대를 전기차로 채우겠다는 미국의 계획,<br /><br />현대·기아차 등 자동차 기업, 그리고, 삼성SDI와 LG에너지솔루션, SK온 등 배터리 업체들은 웃고 있을까요, 아니면 머리를 찢고 있을까요.<br /><br />김주영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현대차·기아에 기회일까 부담일까…배터리 시장은? / 김주영 기자]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해 현대차와 기아가 미국에서 판매한 차량은 약 147만대. 이 중 전기차는 약 5만8,000대로 3.9%에 불과합니다.<br /><br />2032년까지 신차의 67%를 전기차로 채우겠다는 미국 환경 당국의 기준을 맞추려면 현대차와 기아는 9년 안에 미국내 전기차 판매 비중을 17배 정도 늘려야 합니다.<br /><br />앞서 현대차와 기아는 2030년까지 미국 시장에서 전기차 판매 비중을 각각 58%, 47%까지 높인다는 계획을 밝혔는데, 전기차 전환 속도를 더 높여야 하는 과제를 받은 셈입니다.<br /><br /> "완성차 업체가 이러한(전기차 전환) 기술 개발에 100조 원 이상을 쏟아부어야 되는 부담을 안고 있습니다. 그렇지만 탄소중립 그리고 현재 미국이 연비 규제를 강화하고 있기 때문에 기업들은 부담이 되더라도 결과적으로 전기차, 전동화 쪽으로 빠르게 전환을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."<br /><br />다만 지난해 미국에서 판매된 신차 중 전기차 비중이 5.8%에 그쳤다는 걸 고려하면 미국 행정부의 목표가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GM과 포드 등 미국 메이저 업체들에게도 부담스러운 목표인만큼 미 정부의 목표치가 하향 조정될 가능성도 있습니다.<br /><br />반면 국내 배터리 업계는 미국이 전기차 보급에 가속 페달을 밟는 걸 환영하는 분위기입니다.<br /><br />우리 배터리 업체들은 사실상 공급망에서 중국을 배제하겠다는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 시행과 맞물려 미국 현지 공장 건설을 늘리고 있는데, 미국내 전기차 판매 확대가 배터리 수요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배터리 업계는 수혜라고 볼 수가 있어요. 인센티브가 상당히 많다는 거죠. 그러나 중국 업체도 쫓아오는 속도도 높아지고 있고 글로벌 제작사들이 내재화를 선언을 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 배터리 업체가 좀 더 초격차 기술을 유지하면서 선도적으로 진행을 해야 하는 것은 앞으로 풀어야하는 가장 중요한 숙제라고..."<br /><br />다만 미국 현지 투자가 증가할 경우 구조적 성장 산업으로 꼽히는 2차 전지 관련 일자리가 국내에서는 기대만큼 늘지 않을 거라는 우려도 있습니다.<br /><br />"미국의 이번 발표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 전환 속도가 빨라질 거라는 예측도 있습니다. 우리 자동차와 배터리 업계도 대응 방안 마련에 속도를 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."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주영입니다.<br /><br />[코너 : 이광빈 기자]<br /><br />독일은 제생에너지 전환 속도가 주요 선진국 중 빼어나게 빠릅니다. 재생에너지 발전 단가도 상당히 낮췄습니다. 그런데 '자동차 강국'이라는 칭호가 무색하게 전기차 생산과 보급 분야에서는 유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