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준없는 '깜깜이' 코인 상장…피해자 '양산' 우려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일반적으로 가상화폐 거래소를 통해 코인을 사고 팔죠.<br /><br />그런데 상당수의 코인들이 어떤 기준으로 상장되는 지는 공개되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일부는 뒷돈을 받고 상장이 이뤄진 것으로 확인되면서 피해자 양산이 우려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소재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가상화폐 거래소 코인원에선 올해 들어서만 코인 15종의 상장폐지가 결정됐습니다.<br /><br />전체 상장 코인의 약 8% 정도로, 다수가 국내에서만 발행된 이른바 '김치코인'이었습니다.<br /><br />이렇게 허무하게 상장폐지의 길에 접어든 코인들은 어떻게 상장된 걸까.<br /><br />일반적으로 각 거래소 별로 있는 내부 상장위원회가 코인의 상장을 결정합니다.<br /><br />외부 심사위원회를 통하거나 자문을 받는 곳도 있지만, 결정권은 없습니다.<br /><br />5대 거래소로 구성된 디지털자산거래소공동협의체, 닥사는 지난달 코인 상장 가이드라인을 내놨지만, 여전히 각 사들은 상장 기준 자체를 공개하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모든 절차나 상황이 공개되지 않는다는 거죠. 시장에서 자율적으로 결정해야 되는 일이고. 본질적으로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는 시장 구조라고 생각해요."<br /><br />뒷돈을 받은 거래소 임직원들과 뒷돈을 준 브로커들은 바로 이 깜깜이 구조를 악용했습니다.<br /><br />최근 서울남부지검에 적발된 코인원 전 상장담당이사와 상장팀장은 브로커들로부터 수십억원을 받고 2년여동안 29종의 부실 코인들을 상장해왔습니다.<br /><br />빗썸 등 주요 거래소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게 관련 업계의 중론입니다.<br /><br />이렇게 부실하게 상장된 코인들은 시세조종 세력에 의해 가격이 부풀려졌고, 결국 그 대가는 수많은 개미 투자자들에게 떠넘겨졌습니다.<br /><br />반면 코인 발행세력은 막대한 이익을 챙겼습니다.<br /><br /> "갑자기 올라가는 코인들 따라 사서 돈을 좀 벌어보려고 했는데, 사자마자 올라가는 속도보다 더 빨리 떨어지더라고요."<br /><br />거래소는 뒷돈 뇌물을 개인의 일탈로 치부하고 있지만, 사실상 이런 구조를 방치왔다는게 업계 내부 지적입니다.<br /><br /> "도의적인 책임이 있다는 이야기를 해야하는데, 개인의 일탈이라서 일탈한 직원들에 대해서 소송할 생각도 있다 그렇게만 써둬서…"<br /><br />믿었던 5대 거래소 중 일부마저 뇌물 상장과 시세조종이 확인된 가운데 검찰 수사는 더 윗선 가담자가 있는지 또, 다른 거래소에는 문제가 없는지로 계속 확대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소재형입니다. (sojay@yna.co.kr)<br /><br />#가상화폐 #뒷돈 #깜깜이 #상장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