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12년 만의 한국 대통령의 미국 국빈방문길이지만 국가안보실장은 오늘 동행하지 못했습니다. <br> <br>북아프리카 수단에서 우리 교민 29명을 구해내야 하는 긴박한 상황이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정부군과 반군 무력 충돌로 여러 선진국들도 구출작전을 진행 중인데요. 우리도 육해공 최정예 부대와 장비가 투입됐습니다. <br> <br>김성규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 2021년 아프가니스탄 카불에 있던 교민과 현지 조력자 390여 명을 구출할 때 투입됐던 다목적 공중급유수송기 '시그너스'가 수단 사태에도 투입됐습니다. <br> <br>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어제 저녁 부산 김해공항을 이륙한 시그너스는 오늘 오전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 도착했습니다. <br> <br> 당초 인근국가 지부티의 미군 기지로 향할 것으로 예상 됐지만 미군기지 내 착륙 여건 등을 고려한 것입니다. <br><br> 앞서 21일 이륙한 또 다른 수송기 '슈퍼 허큘리스'도 지부티의 미군 기지에 도착해 대기 중입니다. <br> <br> 정부는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소말리아 해역 호송전대 청해부대의 구축햄 '충무공이순신함'도 포트수단 인근 해역으로 이동시켰습니다.<br> <br> 또 특수임무대 707 요원들도 2007년 분당샘물교회 교인 피랍사건 이후 파견됐습니다. <br> <br> 한때 아랍매체는 한국인 29명을 태운 수송기가 사우디 제다에 도착했다고 보도했지만 정부는 곧바로 부인했고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철저한 보안을 유지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전하규 / 국방부 대변인] <br>"구체적인 임무와 이동경로 등은 작전 보안을 유지할 필요가 있어 구체적으로 확인해 드리기가 어렵습니다." <br> <br> 지휘 업무를 맡고 있는 조태용 국가안보실장은 우리 교민의 안전과 관련한 상황이 마무리될 때까지 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국빈 방문 일정에 동행도 미뤘습니다. <br> <br> 미국 등 서방은 비행기 등으로 자국민 대피 작전을 진행하고 있고 주변 중동국가들은 육로 탈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성규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강민<br /><br /><br />김성규 기자 sunggyu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