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본군과 주한미군이 사용하던 서울 용산구 용산기지가 120년 만에 민간에 개방된다. <br /> <br /> 국토교통부는 내달 4일 오후 2시부터 용산기지 부지 일부를 용산어린이정원으로 조성해 개방한다고 25일 밝혔다. 국토부 관계자는 “용산공원 정식 조성에 앞서 국민이 미군기지 반환 성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임시개방하기로 했다”고 말했다. <br /> <br /> 이번에 용산어린이공원으로 조성된 부지는 미군으로부터 돌려받은 땅의 일부다. 정부는 지난해 용산기지 약 243만㎡ (약 74만평) 중 58만4000㎡(약 18만평)를 받았으며, 그중 30만㎡(약 9만 평)를 먼저 공원으로 조성했다. <br /> <br /> 용산기지는 1904년 한일의정서 체결 후 일본군이 주둔했고 해방 후부터는 미군기지로 활용됐다.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“이번 임시개방은 2003년 미군기지 반환이 합의된 후 이뤄낸 가장 큰 진전”이라고 말했다. <br /> <br /> <br /> 용산어린이공원은 주 출입구 입장 시 마주하는 장군 숙소 지역과 정원이 중심이 되는 잔디마당·전망언덕, 동쪽에 있는 스포츠필드로 이뤄졌다. 장군 숙소 지역은 미군 장군들이 거주했던 붉은색 지붕의 단층 주택과 나무로 된 전신주 등이 어우러져 있다. 또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후 미군 주둔, 임시개방까지 120년의 역사를 기록한 홍보관도 자리 잡았다. <br /> <br /> 잔디마당은 네 곳의 미군 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157649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