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제가 훼손한 임금의 길…'광화문 월대' 모습 드러났다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 앞에 설치됐던 임금의 길, '광화문 월대'의 옛 자취가 드러났습니다.<br /><br />일제 강점기에 훼손되기 전, 그 규모와 구조를 확인할 수 있게 됐는데요.<br /><br />오주현 기자가 현장에 다녀왔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광화문 앞, 땅속에서 '넓은 대'의 흔적이 보입니다.<br /><br />광화문의 격을 높게 보이기 위해, 단을 높혀 장식적으로 만들어 둔 '월대'입니다.<br /><br />땅속에 묻혔던 '광화문 월대'의 높이는 48.7m, 폭은 29.7m, 일제강점기 이후 수차례 변화를 겪고도, 그 원형이 고스란히 확인된 겁니다.<br /><br /> "광화문의 그런 위상을 보여주는… 다른 궁궐과도 다른 특징이었는데 실제로 이제 사직로라고 하는 도로 밑에 묻혀 있음으로 해서 우리들은 이 월대를 볼 수가 없는 상태였습니다."<br /><br />'광화문 월대'는 1866년 설치된 것으로 추정되는데, 고종 때 경복궁을 중건하면서 남긴 기록인 '영건일기'에 "광화문 앞, 월대를 쌓았다"는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.<br /><br />당시 월대는 일종의 무대 역할을 했고, 무과 시험을 치를 때나 외국 사신을 맞이하는 용도 등으로 활용됐습니다.<br /><br />궁궐 밖에 있지만 궁궐과 통하는 유일한 길인 만큼, 임금이 백성과 소통했던 길로 여겨지기도 합니다.<br /><br />일제강점기, 광화문 앞에 놓인 철로로 월대가 훼손되고 땅속에 묻히게 됐으나, 훼손 전 실제 크기를 가늠할 수 있을 만큼 생생한 모습이 드러난 것입니다.<br /><br />지난 1990년 경복궁 발굴조사가 시작된 이후 약 30여년 만입니다.<br /><br /> "광화문의 역사성을 온전히 되살리려면 월대 복원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. 경복궁 월대는 그것을 완성시켜주는 핵심 요소이기 때문입니다."<br /><br />문화재청은 오는 10월까지 복원 작업을 마무리해, 올해 가을 궁중문화축전을 통해 옛 모습을 되찾은 월대를 공개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오주현입니다. (viva5@yna.co.kr)<br /><br />#광화문 #월대 #복원사업 #문화재청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