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1890년대에 찍힌 광화문 풍경을 보면 지금과는 다릅니다.<br><br>무대처럼 올라온 '월대'가 있었죠. <br> <br>왕의 소통 공간으로 광화문의 위상을 상징하기도 했는데요. <br> <br>일제가 전차 선로를 깔면서 훼손했던 월대가 다시 복원됩니다. <br> <br>발굴 현장에서 권솔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기자]<br>일직선이었던 광화문 앞 도로가 지난해부터 휘어지게 된 건 그 아래 경복궁의 유적 월대가 발견됐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문화재청은 오늘 이 월대 발굴현장을 공개했습니다. <br><br>월대는 150여 년 전 대원군이 경복궁을 중건할 때 설치한 넓은 진입로입니다.<br><br>당시의 그림과 사진을 보면 계단과 난간, 높게 쌓아올린 구조물이 선명합니다. <br> <br>평평해진 지금의 모습과는 딴판입니다.<br><br>[신희권 / 서울시립대 국사학과 교수] <br>"광화문의 위상을 보여주는 가장 중심적인 특징이었는데, 광화문의 격을 높게 보이게 하기 위해서 일반 지면보다 단을 높여서 장식적으로 만든 공간입니다." <br><br>월대 중앙부엔 폭 7m의 어도가 있었던 것도 확인됐습니다.<br> <br>경복궁 안쪽부터 이어지는 '왕의 길'입니다. <br><br>경복궁 중건 공사를 기록한 '경복궁 영건일기'엔 월대를 쌓기 위해 인부들이 4만번이나 흙을 퍼날랐다고 기록돼 있습니다.<br><br>왕의 길 아랫부분과 월대의 계단 등은 일제가 1923년 전차 선로를 설치하면서 훼손됐습니다.<br><br>문화재청은 오는 10월까지 월대를 복원해서 시민들에게 공개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권솔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조세권 <br>영상편집 : 김지향<br /><br /><br />권솔 기자 kwonsol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