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백악관은 이례적으로 고위 인사를 한국 기자들에게 보내 정상회담 의제를 설명하게 했습니다. <br> <br>특히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"한일 관계 개선에 감사를 표한다"는 이야기를 수차례 했는데요. <br><br>미국 도청 논란이나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 같은 민감한 의제는 어떻게 다뤄질지 강병규 기자가 이어갑니다. <br><br>[기자]<br>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전략소통조정관이 미국 워싱턴에 마련된 한국 프레스센터에 들어섭니다. <br> <br>이례적으로 한국 취재진을 대상으로 브리핑을 하기 위해서입니다. <br> <br>예정된 시간을 넘겨 대통령실이 마치려고 하자, 손짓하며 멈춰 세웁니다.<br><br>[존 커비 / 미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전략소통조정관] <br>"한마디만 더 해도 될까요?" <br> <br>질문에 없던 한일 관계에 대해 먼저 입을 열었습니다. <br> <br>[존 커비 / 미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전략소통조정관] <br>"한국과 일본의 관계가 개선되는 것을 보는 것은 지역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좋은 일이며 우리는 대통령에게 박수를 보내고 감사를 표합니다." <br> <br>미 정부 고위당국자는 백악관 기자들에게도 한일관계와 관련해 "용감하고 담대한 조치를 한 윤 대통령을 강력하게 지지한다"고 평가했습니다.<br> <br>다만 한미 정상회담에서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을 압박할 가능성도 내비쳤습니다. <br> <br>이 당국자는 "한국전쟁에서 한국인들이 어떤 일을 겪었는지 생각해보면 우크라이나에 어떤 지원을 할 수 있을지 실질적 논의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"고 말했습니다.<br> <br>윤 대통령도 외신 인터뷰에서 "살상 무기를 우크라이나에 제공해야할 때가 된다면 한국이 국제사회를 외면하는 상황은 없을 것"이라고 밝혔습니다.<br> <br>윤 대통령은 또 미국의 불법 감청 의혹에 대해서는 "한미 동맹을 지지하는 철통 같은 신뢰를 흔들 이유가 되지 않는다"고 말했습니다.<br> <br>채널A 뉴스 강병규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한규성 조승현 <br>영상편집: 조성빈<br /><br /><br />강병규 기자 be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