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봄철에는 꿀벌이 이 꽃 저 꽃을 날아다니면서 꽃가루를 옮겨줘야 식물에 열매가 맺힙니다. <br> <br>그런데 최근 몇 년사이 꿀벌 실종 사태가 반복되면서 과수 농가들이 울상을 짓고 있습니다. <br> <br>급기야 꿀벌을 대체할 드론까지 등장했습니다. <br> <br>강경모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하얀 사과 꽃이 만발한 9천㎡ 규모 과수원입니다. <br> <br>거대한 드론이 꽃가루를 뿌립니다. <br> <br>1년 농사를 좌우하는 인공 수분 작업을 드론에게 맡긴 겁니다. <br> <br>얼마 전까진 꿀벌이 하거나 사람 손으로 일일이 해야 했던 작업입니다.<br> <br>하지만 이상 기후 영향 등으로 꿀벌 찾기가 쉽지 않고 일손마저 구하기 힘들어 농가들이 애를 태우는 상황. <br> <br>결국 드론에게 대타를 맡겼습니다. <br> <br>[김영준 / 사과 재배] <br>"벌도 많이 보이지 않고 한 70% 이상 (줄었고) 사람 구하기도 힘들고 앞으로가 걱정입니다. (드론은) 처음입니다. 일단 마음에 들고 기대가 많이 됩니다." <br> <br>이 농장 규모를 인공 수분하려면 사람 15명이 16시간을 일해야 하는데요. <br> <br>드론을 활용하면 30분도 안 걸립니다. <br><br>관건은 얼마나 많은 열매가 달리냐는 겁니다. <br> <br>아직까지 드론을 활용한 인공수분 성공률에 관한 객관적인 연구 자료도 없습니다. <br> <br>[춘천시 농업기술센터 관계자] <br>"아무래도 효과를 봐야 저희가 또 이 사업을 할지 말지 그 후에 정할 수 있을 거 같아요." <br> <br>검증 덜 된 드론 수분에 1년 과수 농사의 성패를 맡겨야 하는게 꿀벌도, 일손도 부족한 지금 우리 과수농가의 실정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강경모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김민석 <br>영상편집: 형새봄<br><br><br /><br /><br />강경모 기자 kkm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