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요즘 반도체 업계는 흡사 전쟁터를 방불케 합니다. <br> <br>반도체 경쟁력의 핵심은 결국 유능한 인재 확보일텐데, 시간이 갈수록 여의치 않습니다. <br> <br>반도체 학과에 붙어도 의대나 한의대로 빠져나가고, 이미 취업한 인력들마저 미국이나 중국에 뺏기고 있습니다. <br> <br>안보겸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반도체 재료 웨이퍼의 생산장비 부품을 만드는 중소기업. <br> <br>평일 근무 시간이지만 빈 책상이 곳곳에 보입니다. <br> <br>[김용규 / 반도체 장비 기업 대표] <br>"(핵심 기술 인력이) 30명 정도 필요한데, 필요 인력의 1/3 정도밖에 없습니다. 일정이 지연된다든지 품질 문제들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." <br> <br> 우리 반도체 업계는 향후 10년 동안 해마다 3000명의 전문 인력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> <br> 그러나 전문인력 확보 전망은 어둡습니다. <br> <br>삼성전자, SK하이닉스 등 국내 주요 대기업 입사가 보장된 반도체 계약학과조차 정시 등록포기율이 모집인원 대비 150%가 넘습니다. <br><br> 반도체 계약학과를 합격하고도 의대, 한의대, 치대로 빠져나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[김민성 / 한의대 재학생] <br>"(주위에서) 회사원보다는 경제적으로 더 여유가 많을 확률이 높은 한의사가 되는 것이 좋을 것 같다. 생명과 직결되는 일이기 때문에 그게 더 스스로한테 뿌듯하고." <br> <br> 반도체 업계에 이미 진출한 전문인력 유출도 심각합니다. <br> <br> 미국과 중국 등 해외 업체들이 국내 전문가를 빼가는 겁니다. <br><br> 주요 국가들의 반도체 확보 전쟁과 함께 관련산업 규모는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 그러나 우리의 전문인재 양성 속도는 거북이걸음입니다. <br><br>[김양팽 /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] <br>"해외에 (인재가) 유출되지 않는 방지책을 마련하는 것이 우선 중요할 것이고, 시간학점제 등을 이용해 반도체 관련 지식을 습득하는 방법 등도 고려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." <br> <br>전문인력 양성에 반도체 강국의 미래가 걸려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안보겸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 : 박찬기 김찬우 이락균 <br>영상편집 : 김지향<br /><br /><br />안보겸 기자 abg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