교육부가 첨단산업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해 수도권 대학 정원을 천 명 가까이 늘리면서, 지방대의 위기감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가 대규모 지방대 지원 정책을 함께 추진하고 있지만, 실제로는 구조조정 속도를 높이는 데 방점이 있다는 반발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김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서울대와 연대, 고대 등 수도권 주요 10개 대학이, 2000년 이후 처음으로 신입생을 늘립니다. <br /> <br />반도체와 인공지능, 에너지 등 첨단산업 분야 인재를 대폭 확충하기 위해섭니다. <br /> <br />교육부는 산업환경 변화에 따른 인재 양성의 중요성과 지방대의 어려움을 함께 고려해 <br /> <br />수도권 대학은 최소로 늘리고, 지방대는 최대한 많이 증원을 허용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, 뜯어보면 지방대에서도 첨단학과가 신설되는 12곳 가운데 연세대 분교와 울산대를 뺀 10곳은 국립대학입니다. <br /> <br />실험 장비들이 워낙 고가라서 웬만한 지방 사립대들은 첨단학과 신설 신청도 못 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당장 올해부터 수도권 주요대학과 지방 국립대 등이 학생을 천8백 명 이상 더 뽑으면 다른 지방대들은 그야말로 살아날 방법이 없습니다. <br /> <br />교육부가 앞서 지방대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글로컬대학 30 정책을 내놨지만, 이 상태로는 혁신을 준비할 시간도 없이 그대로 구조조정 대상이 될 거란 불만이 터져 나옵니다. <br /> <br />9월에 1차로 글로컬 대학 10곳이 선정되면 떨어진 지방대학들은 급격한 구조조정에 내몰릴 거라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정세운 / 민주평등사회를위한교수연구자협의회 공동의장 : (글로컬대학 정책은) 각 광역 시도별로 거점 국립대학과 함께 고작 2∼3개의 대학을 엄격한 경쟁을 통해서 정책적으로 선별 지원하되, 나머지 대학들은 무차별적인 구조조정과 정리의 길로 몰아넣겠다는 것이다.] <br /> <br />전국교수단체로 구성된 전국교수연대회의도 다음 달 20일 대규모 반대 대회를 개최하고, '글로컬대학 30' 정책에 반대하는 선언문을 발표하기로 하는 등 고등 교육정책을 둘러싼 진통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현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현아 (kimhaha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430052159329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