김포만 문제?…"파주·동탄 신도시도 힘들어요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김포와 골드라인 출퇴근난이 부각되긴 했지만 교통난이 심각하기는 다른 2기 신도시들도 마찬가지입니다.<br /><br />정부의 조치가 상대적으로 많아 조금씩 나아지고는 있지만, 계획 당시 약속했던 교통수단들은 아직도 남의 이야기인 경우가 많습니다.<br /><br />조성흠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 "김포골드라인의 지옥같은 출퇴근길이 국민적 관심사로 떠오르면서 다른 2기 신도시들의 교통난도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. 2기 신도시의 출퇴근길 직접 살펴보겠습니다."<br /><br />파주 운정신도시의 경의중앙선 운정역에 서울로 출근하는 시민들이 몰려들기 시작합니다.<br /><br />급행열차 증차에 정차역 증가로 극심했던 출퇴근난은 좀 나아졌지만, 지하철을 타는 것만으로 지치는 건 마찬가지입니다.<br /><br /> "사람 많을 때는 너무 많이 혼잡해서 불쾌할 정도로 많이 타거든요."<br /><br />운정신도시 인구는 이미 27만 명, 분양 계획이 줄을 잇고 있어 더 늘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경의중앙선 외 선택지는 배차간격 약 20분, 서울까지 한 시간 넘게 걸리는 광역버스뿐입니다.<br /><br />주민들은 내년 하반기 개통될 GTX-A 외에 아직도 미정인 서울 지하철 3호선 연장을 바라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아무래도 GTX가 새로 생긴다고 하니까 기대, 희망 이런 걸 생각하고 있고, (인구) 분산이 되니까."<br /><br /> "서울역(행) 같은 경우엔 배차간격이 긴 시간이 있어서…3호선 연장이 좀 더 편한 거 같아요."<br /><br /> "교통난이 발생하는 신도시는 파주뿐만이 아닙니다. 제가 있는 이곳 동탄도 출퇴근 시간 교통난이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,"<br /><br />동탄2신도시의 한 버스정류장.<br /><br />오전 7시도 채 안됐지만 서울행 직장인들의 줄은 계속 길어집니다.<br /><br />가장 수요가 많은 버스는 강남역과 서울역행 광역버스.<br /><br />하지만, 입석이 금지된 버스는 좌석이 차자 출발해버립니다.<br /><br /> "보통 한 2대. 1대, 2대 정도는 놓치는 경우가 좀 있고. 민원도 종종 뒷편에 타시는 분들은 제기하시는 거 같고…"<br /><br />동탄은 지난해 10월 국토부 특별관리지구로 지정됐지만, 교통난 해소는 요원해 보입니다.<br /><br />수서행 SRT도 있지만 정기권 구하기가 만만치 않습니다.<br /><br />지하철 1호선인 서동탄역은 주요 광역버스 정류장에서 30분 가까이 걸려 무용지물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계획된 트램과 동탄인덕원선 현실화는 아직 멉니다.<br />GTX-A가 그나마 내년 상반기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버스로도 충분히 출퇴근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지만, 트램이나 지하철 같은 게 들어왔음 좋겠다는 필요성을 많이 느껴요."<br /><br />서울 주택 수요 분산과 수도권의 지역 거점 기능을 목적으로 2003년 개발이 시작된 2기 신도시,,<br /><br />하지만 지하철 연장, 철도 개설 등 약속했던 교통편이 마련되지 않으면서 대중교통 분담률은 자꾸만 낮아지고, 승용차 이용자가 되레 늘었습니다.<br /><br />20년 가까이 흘렀지만 대부분의 정책이 공염불 내지 미정인 현재, 주민들 염원인 교통난 해소는 갈 길이 멀어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조성흠입니다. makehmm@yna.co.kr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