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국이냐 타이완이냐 대리전 양상으로 치러진 남미 파라과이 대선에서 현 우파 집권당 후보가 승리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의 거센 외교 공세 속에 우군을 잃어가던 타이완은 이번 선거 결과를 즉각 환영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경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남미 파라과이 대선 결과 44살 젊은 대통령이 탄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유학 후 금융권에서 일하다 야당에서 정치를 시작한 산티아고 페냐 후보. <br /> <br />지난 2016년 거센 비판 속에 우파 집권 여당으로 당적을 옮긴 뒤 7년 만에 권력의 정점에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[산티아고 페냐 / 파라과이 대통령 당선인 : 우리에게 꿈을 맡겨준 수천 명의 파라과이 사람들, 화해와 애국의 프로젝트를 믿고 내일의 희망이 되라고 우리에게 요구해준 사람들에게 감사드립니다.] <br /> <br />결과가 나온 직후 현지 타이완 대사관은 바로 SNS에 환영한다는 글을 올렸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의 압력으로 단교하는 국가가 늘고 있는데 친미·친타이완 노선 여당 후보가 승리하자 반색한 겁니다. <br /> <br />파라과이는 중국 대신 타이완과 수교한 세계 13개국 중 하나로, 남미에서는 유일합니다. <br /> <br />초반 여론조사에서 앞서던 친중국 성향 야당 후보는 뚜껑을 열고 보니 예상 밖의 큰 격차로 패배했습니다. <br /> <br />[에프라인 알레그레 / 파라과이 대선 야당 후보 : 국민 대다수가 변화를 위해 투표한 것은 사실이지만 우리 내부의 분열로 인해 국민이 우리에게 요구한 변화를 가져오지 못했습니다.] <br /> <br />브라질과 아르헨티나 등 중남미 주요국에서 잇따라 좌파 정권이 출범했지만 보수적인 파라과이 사회는 변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이로써 우파 콜로라도당은 70년 넘게 집권을 이어가게 됐지만 리스크는 남아있습니다. <br /> <br />마약 밀매 등 각종 의혹에 휩싸인 현 여당 대표가 페냐 당선인의 가장 큰 후원자이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당선인에 대해 '꼭두각시'라는 비난이 벌써 나오고 있어 부패 세력과의 관계를 청산하지 못할 경우 국정 운영에 큰 부담이 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이경아입니다.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경아 (kale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0501184456001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