스토킹 피해자에 임시숙소 등 지원…"안전조치 강화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스토킹 피해자들이 두려워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주소지 노출입니다.<br /><br />새 집을 구하려해도 시간이 걸리고, 기존 피난처는 여러 사람과 지내야 해서 사생활 노출 우려 등 불편이 있었는데요.<br /><br />이달부터는 개별 공간을 지원하는 사업이 시범 시행됩니다.<br /><br />윤솔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피해자가 사는 집을 찾아가 피해자와 가족을 살해한 '노원구 세 모녀 사건'부터 이석준, 김병찬, 전주환 사건까지.<br /><br />가해자들은 모두 스토킹 피해자의 사는 곳을 알아내려 하거나 실제 알아내 범죄를 저질렀습니다.<br /><br />스토킹 피해의 경우 주거지가 노출되면 강력 범죄로 이어질 수 있어 피해자의 주거 지원은 피해를 막는 데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.<br /><br />스토킹 피해자의 주거 지원을 확대하는 정부의 시범 사업이 고안된 이유입니다.<br /><br />여성가족부는 이달부터 임시숙소와 임대주택을 활용해 피해자의 개별 주거 공간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임시숙소는 단기 피신이 필요할 때, 임대 주택은 아예 주소지를 옮기는 등 긴 시간이 필요할 때 제공됩니다.<br /><br />사업은 부산과 전남 등 각각 4개 지역에서 먼저 시행됩니다.<br /><br /> "공동 생활 방식이 아닌 개별 거주 방식으로 지원을 하게 됩니다. 안전 문제에 대한 미비점을 보완하고자 경찰과 협약하여 긴급 출동이라든지 순찰 강화라든지 이런 부분들을 보완하였습니다."<br /><br />경찰과의 협력 방안도 함께 시행됩니다.<br /><br />시설 내 비상벨을 설치해 호출시 경찰이 긴급 출동하고, 또 오는 하반기부터는 112 신고 시 1366 여성긴급전화를 연계해 경찰에 신고한 피해자에게 지원 서비스를 곧바로 안내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아직까지 수도권 등 수요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까지 도입되지는 않았는데, 앞으로 여가부는 각 지자체의 수요 신청에 따라 점차 사업을 확대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윤솔입니다. (solemio@yna.co.kr)<br /><br />#스토킹 #피해자 #주거지원 #안전조치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