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한동안 중단됐던 한중일 정상회의 정상화도 시동이 걸렸습니다.<br> <br>실무 협의가 곧 시작되는데요. <br> <br>4년 만에 한중일 재무장관도 우리나라에서 만났습니다. <br> <br>3국 모두 경제적으로 필요성을 느끼고 있어 이번주 일요일 한일 정상 회담 때도 의제가 될 가능성이 큽니다. <br> <br>유승진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정부는 올해 안에 우리나라에서 한중일 정상회의를 열기 위해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. <br> <br>[임수석 / 외교부 대변인] <br>"우리는 한일중 정상회의 의장국으로서 가급적 연내 3국 정상회의가 개최될 수 있도록…" <br><br>2008년 시작된 한중일 정상회의는 코로나와 악화된 한일 관계 여파로 2019년 12월 중국에서 열린 이후 지금까지 중단됐습니다. <br> <br>한중일 3국이 번갈아가며 의장국을 맡는데, 이번에는 우리나라 차례입니다. <br> <br>개최 시기와 의제를 조율하기 위해 3국 외교 실무자 간 협의도 추진되고 있습니다. <br><br>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3월 "한국, 일본, 중국의 3자 정상회의를 다시 가동해 역내 평화와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다"고 밝힌 바 있습니다.<br><br>오늘 인천 송도에서는 한중일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이 4년 만에 대면 회의를 가졌습니다. <br><br>지난달 대중 무역적자는 22억 7천만 달러로, 7개월째 뒷걸음질 치는 상황.<br> <br>대통령실 관계자는 "한중일 모두 경제적인 측면에서 협력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"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오는 7일 한일 정상회담 테이블에도 한중일 정상회의가 의제로 오를 가능성이 큽니다. <br> <br>지난 3월 도쿄 회담 때도 한중일 고위급 프로세스 재가동의 중요성에 의견을 모은 바 있습니다. <br> <br>다만, 지난주 한미 정상회담에서 대만 문제가 거론돼 중국이 반발하고 있는 만큼, 안보 문제로 얼어붙은 한중 관계가 풀어야 할 변수로 꼽힙니다. <br> <br> 채널A 뉴스 유승진입니다. <br><br> 영상편집 : 김지균<br /><br /><br />유승진 기자 promotio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