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국회에서 간호법 개정안이 통과되면서, 의사와 간호조무사 집단행동이 현실화됐습니다. <br> <br>오늘 전국 주요 도시에서 집회가 열리면서 동네병원이 문을 닫아 시민들 불편이 컸습니다. <br> <br>2차파업, 총파업도 예고돼 있어 걱정입니다. <br> <br>서주희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피켓과 깃발을 든 의사, 간호조무사들이 국회 앞 4차선 도로를 가득 채웠습니다. <br> <br>간호법 반대 시위를 위해 13개 의료 단체들이 연가를 내거나 단축 진료를 하고 한 자리에 모인겁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(간호사만) 특혜주는 간호사법 폐지하라! 폐지하라!" <br> <br>지난달 27일 야당 주도로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간호법이 간호사 단독 개원의 근거가 될 수 있다며 오늘 부분 파업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오는 11일 2차 부분 파업과 함께 윤석열 대통령의 거부권이 행사되지 않을 경우 17일 총파업도 불사한다는 입장입니다.<br> <br>주최측 추산 2만여 명이 오늘 연가투쟁과 부분파업에 참여하면서, 동네의원을 찾았던 일부 시민들은 진료를 받지 못하고 발길을 돌려야 했습니다.<br> <br>경기 화성시에서 외국어 진료가 가능한 서울 용산구 병원까지 찾아 온 일본인 환자도 발길을 돌렸습니다. <br> <br>[가즈히코 야마모토 / 경기 화성시] <br>"일본어 가능한 곳을 찾다가 이 병원을 찾았습니다. 어쩌죠… 다른 날 찾아와야죠." <br> <br>[서울 용산구민] <br>"문 닫았으니까 좀 놀랐네요. 불편하네요." <br> <br>다가올 총파업이 더 걱정입니다. <br> <br>대형 병원에서 일하는 전공의들도 총파업 동참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. <br> <br>[강민구 / 대한전공의협의회 회장 (어제)] <br>"일방적으로 모든 법안과 정책이 추진될 경우에는 저희는 전국 전공의 단체 행동을 논의할 수밖에 없습니다." <br> <br>반면 대한간호협회는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국민 생명을 담보로 한 집단 진료거부를 중단해야 한다고 비판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서주희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박연수 조세권 강철규 <br>영상편집 : 방성재<br /><br /><br />서주희 기자 juicy12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