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주 천마총 발굴 50주년을 맞아 발굴 의미를 되새기는 비전 선포식이 열렸고, 천마총과 금관총 등에서 나온 천마도 4점이 처음으로 동시 공개됐습니다. <br /> <br />문화재청은 오늘 오후 경주 대릉원 일대에서 천마총 발굴 50년의 성과와 발전을 되돌아보고 미래 백 년을 다짐하는 '1973, 천마를 깨우다' 비전 선포식을 열었습니다. <br /> <br />최응천 문화재청장은 "천마총 발굴 50년이 가져온 변화와 파동은 앞으로 펼쳐질 긴 여정의 시작에 불과하다"며 "아직 땅속에 쌓여있는 신라 천 년의 역사를 밝혀내기 위해 각 분야의 유관 기관, 전문가들과 적극적으로 협업할 것"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또 "천마총 발굴 50주년을 기념해 발표한 비전 '신라류'에 새로운 각오를 담았다"며 "다시 한 번 미래를 향한 큰 파동을 일으켜 신라류의 물결이 한류를 타고 세계로 뻗어 나갈 수 있도록 각오와 다짐을 하는 자리"라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국립경주박물관은 발굴 50주년을 기념해 '천마, 다시 만나다' 특별전을 열고 천마도가 그려진 말다래 2점을 약 9년 만에 공개했습니다. <br /> <br />박물관 측은 빛에 약한 천마도 훼손을 막기 위해 대중에 널리 알려진 아래쪽 말다래는 6월 11일까지, 상대적으로 손상이 심했던 위쪽 말다래는 6월 12일부터 7월 16일까지 선보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 전시에서 천마총 말다래 2점의 교차 전시와 함께 천마총 금동판 말다래, 금령총과 금관총에서 나온 천마 무늬 말다래도 함께 공개돼 천마도 4점이 사상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이는 셈입니다. <br /> <br />박물관 측은 "천마가 신라인의 뇌리에 널리 자리 잡은 신성한 동물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"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천마총은 5세기 후반 혹은 6세기 초반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왕릉급 무덤으로 1973년 4월부터 약 8개월간 이뤄진 발굴조사에서 자작나무 껍질에 그린 천마도 장니와 신라 금관 등 국보와 보물 10건을 포함한 유물 만천 5백여 점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천마총 발굴은 우리 손으로 신라 고분을 제대로 발굴한 첫 사례로 평가됩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교준 (kyojoo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30504134739665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