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이 기준금리를 또 올리면서 한미 간 금리 격차가 역대 최대로 벌어졌지만 우리는 이번 달에도 금리를 동결할 거란 전망이 우세합니다. <br /> <br />물가가 조금씩 잡혀가는 데다 무엇보다도 국내 경제 여건이 녹록지 않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김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따라가기도 벅차던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행진. <br /> <br />열 차례 연속 인상을 마지막으로 드디어 끝이 보인다는 평가가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2월에 이어 4월, 미국보다 먼저 금리를 동결했던 한국은행도 한숨은 돌렸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달 25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도 또다시 기준금리를 동결할 여지가 커진 겁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물가상승률은 3%대로 내려간 반면 수출과 내수 동반 부진 속에 경기 침체 우려는 한층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고금리가 지속하며 어느새 눈에 띄게 오른 연체율도 부담입니다. <br /> <br />미국과의 금리가 1.75%p까지 벌어졌지만, 그래도 우리는 동결할 거란 전망이 우세한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[이정환 / 한양대학교 경제금융대학 교수 : 거의 1년 동안 무역적자가 쌓이고 있어서 그 규모가 너무 크다라는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그 말은 기준금리를 올리게 되면 시장금리에 영향을 미치고 이런 기업들의 활동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어서 상당히 어렵다….] <br /> <br />변수는 앞으로 남은 3주입니다. <br /> <br />한국은행은 그간 금리 격차에 기계적으로 대응하지 않겠다고 강조해 왔지만, <br /> <br />사상 초유의 한미 간 금리 격차가 지속되면 외국인 투자자금이 더 높은 수익을 찾아 빠져나갈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변동성이 커진 환율이 치솟을 경우, 수입 물가 상승을 부추겨 기껏 잡히나 싶던 물가가 다시 들썩일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가능성만 열어둔 금리 추가 인상 카드를 다시 만질 수도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이창용 / 한국은행 총재(지난달 15일) : 지금은 금리를 올릴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고 그 물가 경로가 어떻게 되는지를 보고 우리가 좀 판단한 다음에 움직이자는 견해이기 때문에….] <br /> <br />경기 침체에 더해 금융 불안까지 높아지며 우리 경제가 더는 금리 인상을 감내하지 못할 거란 전망이 높은 상황. <br /> <br />정부는 각별한 경계감을 갖고 금리 차 확대에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지선입니다. <br /> <br />영상편집 : 마영후 <br /> <br />그래픽 : 우희석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지선 (sunkim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507064821174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