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저임금위 시작부터 '삐그덕'…접점 난항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논의가 시작 초반부터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최저임금 수준을 놓고 노동계와 경영계 간 입장 차가 큰 데다 감정의 골까지 파여 대화를 이어가지 못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김종성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올해 최저임금은 9,620원.<br /><br />노동계는 올해보다 24.7% 높은 1만2천원을 내년도 최저임금 요구안으로 설정했습니다.<br /><br /> "IMF는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을 1.5%로 낮췄습니다. 그러면서 성장률 둔화의 주요 원인으로 내수침체를 지목하였습니다. 내수활성화의 첫 시작은 최저임금 인상입니다."<br /><br />그러나 경영계는 국내외 경제 여건 등을 감안할 때 동결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으로 맞서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소상공인이나 중소 영세사업자들은 거의 한계 상황에 다다라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. 어떻게 보면 최저임금 동결도 어려운 상황이라는…."<br /><br />최저임금 인상률이 3.95% 이상이면 사상 처음으로 내년부터 최저임금이 1만원선을 넘게 됩니다.<br /><br />최저임금 결정의 캐스팅보터 역할을 하는 공익위원 선임을 놓고 갈등이 커진 것도 위원회의 발걸음을 무겁게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윤석열 정부의 노동개악 내용을 마련하는데 주된 역할을 한 사람은 최저임금위원회의 공익위원 자격이 없습니다. 권순원 위원은 스스로 사퇴하시기 바랍니다."<br /><br />반면 위원회는 결격사유가 되지 않는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노조 회계장부 제출과 건설노조 수사 등 여러 현안에서 부딪히며 노정갈등이 확산하는 것도 변수로 꼽히는 상황.<br /><br />최저임금위원회는 일단 오는 25일 두번째 회의를 열기로 했지만, 갈등의 돌파구가 보이지 않아 또다시 공전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종성입니다. (goldbell@yna.co.kr)<br /><br />#최저임금 #노동 #경영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