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하루에도 몇 건씩 무차별적으로 발송되는 재난 문자. <br> <br>어느새 국민들에겐 '스팸'처럼 다뤄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'거짓말쟁이 양치기 소년' 취급을 받게 되면서, 정부가 재난문자를 줄이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배유미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시도 때도 없이 울리는 재난문자 경고음에 시민들은 피로감을 호소합니다. <br> <br>[손금옥 / 대구 달서구] <br>"이제는 익숙해져서 저건 재난문자구나, 익숙해서 예사로 생각하죠." <br> <br>[박채빈 / 대구 달서구] <br>"사실 저는 꺼놨어요. 재난문자를, 그냥 삐 소리도 자주 울리고 하면 깜짝 놀랄때도 많고 방해될 때도 많아가지고." <br> <br>2005년 시작된 재난문자는 2019년까지 한해 평균 4백여 건이 발송됐지만, 코로나19 안내 등으로 한해 5만 4천여 건으로 131배 급증했습니다. <br><br>행정안전부는 과다한 재난문자가 오히려 경각심을 떨어뜨리고 민폐가 되자 개선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대설 특보시 발송되던 빙판길 조심 등 단순안내 문자는 오는 10일 부터 도로통제 때만 보냅니다. <br> <br>광역시도 단위로 발송되던 지진 재난문자는 긴급대피가 필요한 시군구로 좁혀지고 '극한 호우'는 기상청이 직접 발송하되 1시간 50mm, 3시간 90mm가 예상될 경우에만 알립니다. <br><br>아동, 치매실종자 발송 문자는 재난문자에서 빠지고 수신을 원할 때만 받게 됩니다. <br> <br>정부는 시범운영 등을 통해 개정된 재난문자 기준을 단계적으로 적용할 방침입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배유미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 : 김건영 <br>영상편집 : 장세례 <br> <br> <br><br /><br /><br />배유미 기자 yum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