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A 시작합니다.<br> <br>김윤수입니다. <br> <br>한일 정상이 52일 만에 다시 만났습니다. <br> <br>12년만에 셔틀외교가 사실상 완벽하게 복원됐습니다. <br> <br>기시다 일본 총리, 과거사 문제에 대해 "힘들고 슬픈 경험을 했던 많은 분들에 대해 가슴 아프게 생각한다"면서 이전보다 진전된 <br>발언을 내놨습니다. <br> <br>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문제도 협력 의사를 밝혔습니다. <br> <br>조금 전 공동 기자회견이 끝났습니다. <br> <br>대통령실 연결해 회담 결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<br> <br>조영민 기자, <br> <br>[질문1] 역시 가장 큰 관심은 일본의 호응, 쉽게 말해 과거사 문제에 대한 언급이 있었는지 여부일텐데. 어땠습니까? <br> <br>[기자]<br>네, 양국 정상회담이 방금 전 끝이 났는데요. <br> <br>기시다 총리는 공동기자회견에서 역대 일본 내각의 인식을 계승한다고 재차 밝히면서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들에 대해 추가 발언을 내놓았습니다. <br> <br>직접 들어보겠습니다. <br> <br>[기시다 일본 총리 ] <br>"윤 대통령의 결단으로 3월 6일 발표된 조치에 관한 한국 정부 노력 전해오는 가운데 과거의 아픔을 되새기면서도 미래에 마음을 열어주신 데 감명을 받았습니다. 저도 당시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일을 하게 된 많은 분들이 힘들고 슬픈 경험 하신데 가슴 아프게 생각합니다." <br> <br>직접 사죄나 사과 표현을 쓰지는 않았지만 지난 3월 방일 때보다는 진전된 입장을 준비한 걸로 보입니다. <br> <br>양국 정상은 이달 말 일본 히로시마에서 원폭 희생자 위령비를 함께 참배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[질문2] 후쿠시마 오염수 관련해서도 진전된 입장이 나왔죠? <br> <br>네, 두 정상은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관련해 한국 측 전문가로 구성된 현장 시찰단을 별도로 파견하는 안에 합의했다고 발표했습니다. <br> <br>[윤석열 대통령 ] <br>"후쿠시마 오염수 관련 한국 전문가들의 현장 시찰단 파견에 합의했습니다. 과학에 기반한 객관적 검증이 이뤄져야 한다는 우리 국민의 요구를 고려한 의미있는 조치가 이뤄지길 바랍니다" <br><br>[기시다 총리 ] <br>"한국분들이 이 사안에 대해 이해해주실 수 잇도록 이번달에 도쿄전력 후쿠시마 1원전에 대한 한국 전문가 현장시찰단 파견 받아들이기로 결정했습니다. 일본의 총리로서 자국민 그리고 한국 국민의 건강과 해양환경에 나쁜 영향을 주는 형식의 방류는 인정하지 않을 것을 약속드립니다" <br> <br>기시다 총리는 "한국 국내에서 방류에 대한 우려 목소리가 있다는 점을 잘 인식하고 있다"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[질문3] 경제 분야 협력 방안도 나왔죠? <br> <br>네, 경제와 안보 분야 협력은 물론 항공편도 늘리고, 인적 교류도 활성화하기로 했는데요.<br><br>특히 반도체 분야 협력을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[한일 정상 기자회견] <br>"경제협력, 한국의 반도체 제조업체와 일본의 우수한 소부장 기업들이 함께 견고한 반도체 공급망 구축할 수 있도록 이 분야 공조 강화하자는데 의견 일치하였습니다." <br> <br>양국 정상은 수도권 뿐 아니라 지방간 항공노선도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도록 노력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안보 분야 협력은 한미일 3국을 중심으로 강화해나가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대통령실에서 채널A뉴스 조영민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한규성 박희현 <br>영상편집 : 박형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