美 "한일회담 환영"…외신 '사과 안한 日' 지적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은 한일정상회담에 환영의 뜻을 밝히며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협력을 지속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주요 외신은 사과에 미치지 못한 기시다 총리의 발언을 언급하며 과거사 문제가 양국 관계 현안으로 재부상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 이경희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미국 국무부는 한일정상회담과 관련해 대변인 SNS를 통해 지지를 표했습니다.<br /><br />매튜 밀러 대변인은 자신의 트위터에 한국과 일본의 동맹국으로서 미국은 이번 회담을 환영한다며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 태평양을 발전시키기 위해 동맹국과 협력을 이어가겠다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미 주요 언론도 미국 주도의 한미일 3국 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고 평가했습니다.<br /><br />뉴욕타임즈는 "미국의 주요 동맹국간 셔틀 외교가 복원된 건, 양국의 협력을 촉구해 온 미국 입장에서 고무적인 신호"라고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다만 기시다 총리의 발언은 다수 한국인들의 기대치에 미치지 못했다고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"마음이 아프다"는 일본 총리의 발언은 한국인이 바라는 직접적인 사과가 아니라며 과거처럼 역사 문제가 언제든 양국 관계 현안으로 재부상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.<br /><br />과거사 문제와 관련한 양국 내 정치적 압박을 고려할 때 한일간 긴장 관계가 쉽게 해소될 것으로 보는 전문가는 소수라고도 덧붙였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포스트도 한일이 중국을 견제하고 북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협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.<br /><br />기시다 총리의 발언에 대해선, 식민 통치하 한국인의 가혹한 생활에 대해 직접적으로 언급하긴 했지만, 새로운 사과 없이 과거 일본 지도자들의 성명을 강조하는 길을 택했다고 평가했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이경희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