3년 전 이미 이상 징후…CFD 관리 책임 부각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주가 폭락 사태로 금융당국이 대책을 마련하느라 분주합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늑장대응이 피해를 키웠다는 비판은 계속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증권사를 향해서는 과거 환매 중단 사태가 벌어진 펀드 상품처럼, 중개 수수료에 눈이 멀어 일반인에 부적절한 상품을 팔았다는 책임론이 불거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은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3년 전,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가 낸 차액결제거래, CFD 관련 보도자료입니다.<br /><br />익명성을 악용한 미공개 정보 이용이나 시세조종과 같은 불공정 사례가 적발되고 있다며 집중심리를 하겠다는 내용입니다.<br /><br />2019년 11월 금융당국이 CFD 전문 투자자 자격 요건을 완화한 지 약 1년 만에 이런 경고가 나온 겁니다.<br /><br />이번 주가 폭락 사태 원인으로 지목된 CFD의 위험성이 이렇게 오래전부터 부각됐는데도 방치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입니다.<br /><br />사태가 커지자 금융당국은 대규모 주가조작 의혹이 불거지는 일이 없도록 내부자 거래에 대한 사전공시와 불공정 거래 대상 처벌 강화를 내걸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란 지적을 피하긴 어렵습니다.<br /><br /> "주범은 당연히 주가 조작세력인데, 하나의 판을 깔아준 게 금융당국이다. CFD를 함부로 문호 개방했다는 거 자체가 너무나 성급한 결정이고…"<br /><br />증권사 책임론도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미 키움증권에 대해서는 중개 금융기관으로서 CFD 계좌관리를 허술하게 했다며 집단소송 움직임이 일고 있습니다.<br /><br />CFD가 고위험 상품인 만큼 증권사가 수수료 챙기기에만 급급해 관리 소홀로 피해를 키웠다며 책임을 묻겠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CFD 잔액 1, 2위를 다투는 키움증권과 교보증권은 CFD 신규 계좌 개설을 잠시 중단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따가운 시선 속에 CFD 계좌 개설을 중단한 증권사들이 잇따르면서 당분간 CFD 시장은 침체기를 맞을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은정입니다. (ask@yna.co.kr)<br /><br />#CFD #금융위원회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