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한일 정상이 합의한 후쿠시마 오염수 시찰단 파견.<br> <br>보내기도 전에 양국의 신경전이 시작됐습니다.<br> <br> 우리 정부는 독자적으로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다고 하지만, 일본 정부는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이라며 선을 그었습니다.<br> <br>정다은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 이틀 전 한일 정상회담에서 두 정상은 한국 전문가들의 후쿠시마 제1원전 현지 시찰에 합의했습니다. <br> <br>[한일 정상 기자회견(지난 7일)] <br>"과학에 기반한 객관적 검증이 이뤄져야 한다는 우리 국민의 요구를 고려한 의미 있는 조치가 이뤄지기를 바랍니다." <br> <br>우리 정부는 주요 7개국 정상회의 직후인 23일부터 최소 3박4일 시찰단을 현지로 보낼 방침입니다. <br> <br> 기시다 일본 총리가 떠난 다음 날 바로 역할과 범위를 놓고 이견이 발생했습니다. <br> <br> 일본의 원전 주무부처인 경제산업성은 한국 시찰단이 오염수의 안전을 평가하는 것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습니다. <br> <br>[니시무라 야스토시 / 일본 경제산업상]<br>"어디까지나 한국 측 이해를 깊게 하려는 대응이고, (시찰단이) 처리수의 안전성 평가나 확인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." <br> <br> 하지만 우리 정부는 독자적으로 평가하겠다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[장호진 / 외교부 1차관] <br>"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는 장소를 방문하고 자료를 요구하고, 가지고 돌아와 분석·평가해 후속조치도 당연히 할 것이고요." <br> <br> 또, "일본이 검증이라는 용어를 꺼려하는 측면이 있다"며 "중요한 것은 용어가 아니라 활동의 내용"이라고 반박했습니다. <br> <br> 시찰단 파견 전부터 양국의 시각에 차이가 드러난 가운데 구체적인 내용을 협의하기 위한 양국 외교 국장급 협의도 조만간 열릴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정다은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 : 김기태 이 철 <br>영상편집 : 이태희<br /><br /><br />정다은 기자 dec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