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출근시간대 승객들의 비명소리가 나오는 골병라인, 김포골드라인만은 아니었습니다. <br> <br>두 량의 꼬마열차에, 수많은 사람을 태우는 서울 우이신설선도 비슷한 상황인데요. <br><br>서울 지하철 대표적인 골병라인을 김민환 기자가 직접 타봤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출근길 승객들이 몰리더니 금세 계단까지 긴 줄이 생겼습니다. <br> <br>이미 승객이 들어찬 열차에는 겨우 4명만 탈 수 있었습니다. <br> <br>어떻게든 타 보려는 승객들을 안전요원이 막아 세웁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못 타신 분 뒤로 조금 나와 주세요." <br> <br>우이신설선 정릉역 승강장입니다. <br><br>앞서 열차가 10대 지나갔는데, 여전히 열차를 타지 못한 승객들이 많습니다.<br> <br>출근 시간대 2분 53초 간격으로 열차가 오가지만, 두 량 꼬마열차로는 넘치는 승객들을 소화해 내지 못합니다. <br> <br>가까스로 올라탄 열차 안에는 승객들의 비명이 터져 나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아휴. 아." <br> <br>우이신설선 정릉역의 최고 혼잡도는 지난해 154%, 같은 경전철인 신림선 서울지방병무청역 147%를 웃돕니다. <br> <br>[김성중 / 우이신설선 이용 승객] <br>"숨이 턱 막히면서…김포골드라인도 사람들도 많이 붐비면서 압사 위험도 있고. 남 일 같지 않다고 생각합니다." <br> <br>2017년 개통된 서울의 첫 번째 경전철로 서울 강북구와 동대문구를 잇는 우이신설선.<br><br>비슷한 노선의 지하철 4호선보다 역 간 거리가 촘촘해 이용 시민이 계속 늘지만 객차를 더 붙일 수도 없습니다. <br><br>비슷한 시간, 지하철 9호선 급행열차. <br> <br>발 디딜 틈 없이 들어찬 승객들은 열차 연결 통로까지 채웠습니다.<br><br>160%를 넘는 혼잡도로 서울지하철 중 가장 악명이 높습니다. <br> <br>[고경민 / 9호선 탑승 승객] <br>"너무 신경을 안 쓰시는 것 같아요. 예전부터 혼잡했는데도 계속 방치한 느낌도 있고…" <br> <br>서울시는 우이신설선에 안전요원을 추가 배치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9호선 증편도 서두르겠다고 했지만, 빨라야 연말쯤에나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민환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 : 강철규 최혁철 <br>영상편집 : 정다은<br /><br /><br />김민환 기자 kmh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