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2년 전 발생한 서울대병원 개인정보 유출 사건도 북한의 소행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> <br>환자와 직원을 포함해 83만 명의 개인정보가 털렸는데, 진료받은 유력 인사의 개인 정보를 노린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강보인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2년 전 서울대병원에서 환자와 직원 약 83만 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됐습니다. <br> <br>이름과 생년월일, 나이, 병원 기록 등 민감 정보가 해킹으로 빠져나간 겁니다. <br> <br>경찰은 추적 끝에 북한 소행으로 결론내리고 2014년 한국수력원자력을 해킹한 정찰총국 산하 해킹조직 '김수키'와의 연관성을 의심하고 있습니다.<br><br>이 조직은 국내외 서버 7대를 장악하고, 병원 내부망에 침투해 악성 프로그램을 심어 정보를 빼냈습니다. <br> <br>이들이 쓴 비밀번호 '다치지 말라'가 '건들지 말라'의 북한식 표현인 점도 확인됐습니다. <br><br>서울대병원은 정재계 인사 다수가 진료를 받은 곳이어서 개인정보가 유출됐을 경우 또 다른 해킹에 악용될 우려가 나옵니다. <br> <br>[이승운 / 경찰청 사이버테러수사대장] <br>"개인정보를 유출했던 직접적인 목적은 주요 인사의 진료 정보를 탈취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이 됩니다." <br> <br>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"서울대병원이 안전 조치 의무를 소홀히 했고 환자 등에게 제대로 통지하지도 않았다"며 7500만 원의 과징금을 부과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강보인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 : 김기열 <br>영상편집 : 박혜린<br /><br /><br />강보인 기자 riverview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