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물어보면 답하는 대화형 인공지능 챗GPT의 대항마가 나왔습니다. <br> <br>구글에서 공개한 ‘바드’입니다. <br> <br> 챗GPT와 바드에게 같은 질문을 해봤는데 답변이 크게 달랐습니다. <br><br>권갑구 기자가 직접 사용해봤습니다. <br> <br>[기자]<br>구글의 대화형 인공지능 챗봇 '바드'가 전 세계 180개국에서 일제히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. <br> <br>한국어와 일본어 지원이 가능하고 조만간 40개 언어로 서비스가 제공됩니다. <br> <br>[시시 샤오 / 구글 '바드' 담당 부사장] <br>"영어를 넘어, 오늘부터, 바드에게 일본어와 한국어로 대화할 수 있습니다. " <br> <br>나라별 맞춤형 답변을 내놓기도 합니다. <br> <br>'독도가 어느 나라 땅이냐'고 한국말로 묻자 "대한민국 고유의 영토이고 일본의 영유권 주장은 근거가 없다"고 답합니다. <br> <br>같은 질문을 일본어로 하자, "일본이 옛부터 영유해 왔다고 주장한다"고 설명합니다. <br><br>반면 지난해 11월 미국 스타트업이 내놓은 '챗GPT'는 한국어와 일본어 질문에 , "한일이 각각 영유권을 주장하는 섬"이라는 비슷한 답변을 내놨습니다. <br><br>바드는 시각적 요소가 추가돼 이미지를 활용한 질문에 답하거나 답으로 제시할 수도 있습니다. <br> <br>답을 어디서 가져왔는지 출처를 표기하는 기능이 추가되고, 바드의 답변을 메일과 문서로도 내보낼 수 있게 됩니다. <br> <br>2021년 9월 데이터까지만 반영하는 '챗GPT'에 비해 최신 정보를 담을 수 있다고 내세우지만 오답률이 높다는 점은 과제입니다. <br> <br>대화형 인공지능 시장에 1위 사업자 구글이 뛰어들면서 주도권 경쟁이 본격화될 전망입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권갑구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 : 이성훈 <br>영상편집 : 변은민<br /><br /><br />권갑구 기자 nine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