의사·조무사 등 2차 부분파업…간호계 "거짓 선동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간호법 제정안 폐기·재논의를 촉구하며 의료연대가 2차 부분파업을 진행했습니다.<br /><br />간호계는 간호법 공포를 촉구하며 맞섰습니다.<br /><br />최덕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서울 강서구의 한 치과.<br /><br />한창 환자가 줄 이을 시간이지만 문이 굳게 잠겨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달 말 국회를 통과한 간호법 제정안 폐기를 위한 2차 부분파업에 참여하기 위해서입니다.<br /><br /> "(1차 부분파업 때는) 오전만 (진료를) 하는 걸로 했는데 그걸로 별로 효과가 없고…집단 이기적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그런 게 아니라는 걸 많이 알아주셨으면 좋겠다…"<br /><br />서울의 또 다른 병원.<br /><br />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계속 오지만, 진료실 문 앞에는 오후 4시까지만 진료한다는 안내문이 붙었습니다.<br /><br /> "(간호법이 제정되면) 간호사들이 응급 구조 활동에 참여할 때 응급 구조사는 그만큼 일자리가 줄어들게 되는 거죠. 소수 직군이고 약한 직군인데 업무적으로 많이 침탈될 수 있다고 생각하고요."<br /><br />의사, 치과의사 등은 퇴근 시간 가까운 늦은 오후에 국회 앞에서 집회에 참석했습니다.<br /><br />이 밖에 요양보호사, 학생 등도 참석했습니다.<br /><br /> "폐기하라! 폐기하라! 폐기하라!"<br /><br />국회 앞뿐 아니라 대전, 부산 등 전국에서 부분파업이 진행되고, 더불어민주당 당사 앞으로 가두 행진을 벌이기도 했는데, 의료연대 측은 전국에서 4만 명이 모였다고 추산했습니다.<br /><br />대한간호협회는 의료연대가 간호법을 왜곡하고 있다고 맞섰습니다.<br /><br /> "거짓된 선동과 정치공학적 잣대로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등을 주장하는 역행적인 처사가 거론되며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정치적 거래의 희생양으로 이용하고 있는 점을 크게 우려한다."<br /><br />그러면서 간호법 공포를 촉구하는 단식 농성도 이어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최덕재입니다. (DJY@yna.co.kr)<br /><br />#간호법 #의사 #치과의사 #간호조무사 #파업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