화산섬인 제주에는 유명한 용암동굴이 많은데, 아직도 새로운 동굴이 발견되고 있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이번에는 그동안 동굴이 없는 거로 알았던 구좌읍 동복리에서 배수로 공사를 하던 인부가 발견해 지자체에 신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KCTV 제주방송 김용원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구좌읍 동복리 용암동굴 발견 현장입니다. <br /> <br />천막을 걷어내자 동굴 입구가 모습을 드러냅니다. <br /> <br />현무암 지반에 용암이 굳으면서 형성된 종유와 용암이 말아 올라간 용암 두루마리 같은 각종 생성물이 전형적인 용암동굴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에 발견된 동굴은 폭 4m에 높이 2~3m 그리고 길이는 4백m에 달하는 용암동굴로 추정됩니다. <br /> <br />동굴이 발견된 건 지난 3월 초순입니다. <br /> <br />이 일대 배수로 정비를 위한 터파기 공사 도중 입구가 발견돼 공사업체가 지자체에 신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[공사 관계자 : 작업하면서 장비가 서 있었고 암반을 깨고 있었죠. 갑자기 암반이 확 무너지면서 깊이가 한 2m 좀 더 됐을 거예요. 거기에서 발견됐어요.] <br /> <br />해당 동굴은 입구를 기준으로 남쪽으로는 70m, 북쪽 해안가로는 3백여 미터 가량 길게 뻗어 있는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주변 오름의 생성 시기를 감안할 때 해당 동굴은 약 2~3만 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시도 지정문화재로 평가되는 나등급에 해당한다는 전문가 자문 의견도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[강순석 / 제주지질연구소 소장 : 전형적인 용암동굴인 것은 확실하고 길이가 몇백 미터 될 것 같은데 보존가치가 높죠. 만장굴 같은 아주 대형 동굴은 아니지만, 중형급의 동굴이다. 동굴이 앞뒤로 계속 이어질 수도 있지만, 중간중간 막힐 수 있어요. 그런 중형급의 동굴이 나오지 않느냐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동복리 일대에서 용암동굴이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. <br /> <br />추가 동굴이 있을 가능성과 주변 용암동굴계와의 연관성에 대한 정밀 조사가 필요해 보입니다. <br /> <br />KCTV 뉴스 김용원입니다.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30513063202311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