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오늘 은혜가 하늘 같다는 스승의 날입니다. <br> <br>학교 분위기와 학원 분위기가 사뭇 다르다고 하는데요, <br> <br>오히려 학원 선생님께 선물이 간다네요. <br> <br>김태우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[대한뉴스(1990년)] <br>"스승의 날을 맞아 전국 1만 9천여 개 학교에 재직 중인 36만여 명의 선생님들은 제자들로부터 축하와 감사의 카네이션을 받고 흐뭇해했으며." <br> <br>교권 확립을 위해 1982년 제정된 '스승의 날'. <br> <br>하지만, 최근엔 이런 풍경 찾아보기 힘듭니다. <br> <br>2016년부터 시행된 청탁금지법, 일명 김영란법 때문입니다. <br> <br>손편지 외에는 일절 주지도, 받지도 못합니다. <br> <br>돌려보내기 어려우면 학교 공용화분에 전시합니다 <br> <br>[초등학생 학부모 A씨] <br>"선생님이 카드는 받지만 꽃은 받을 수 없다고 그러시면서 그냥 학급 내에 있는 화분에 꽂아 주시고…" <br> <br>카네이션이 그려진 티셔츠를 입고 가서 대신 마음을 전하기도 합니다. <br> <br>반면 청탁금지법이 적용되지 않는 학원은 다릅니다. <br> <br>서울 대치동 학원가에선 선생님께 드릴 꽃을 든 모습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. <br> <br>[김민정 / 중학생 학부모] <br>"학원 선생님들한테 감사한 마음을 표현하는데. 학원 같은 데서는 (학교와 같은) 제약이 없다 보니까." <br> <br>비싼 돈 들여 학원 보내는 만큼 아이가 수업 잘 따라가는지 잘 챙겨봐 달라는 부모 마음인 겁니다. <br> <br>[신연재 / 고등학생] <br>"사교육을 훨씬 많이 다들 중요하게 생각하니까 친구들이 학교에 많이 의지를 안 해서 스승의 날에 (학원) 중요도가 많아진…" <br> <br>청탁금지법 이후 스승의날 선물 고민이 줄었는데 풍선효과처럼 이제 학원 선생이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는 학부모 우려도 나옵니다. <br> <br>스승의 날에도 공교육과 사교육의 온도 차이가 생겨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태우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최혁철 <br>영상편집 : 형새봄<br /><br /><br />김태우 기자 burnkim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