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간호사 단체들은 즉각 반발했습니다. <br> <br>총선에서 투표로 응징하겠다면서 정치적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이어서 김용성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[현장음] <br>"간호법 제정 약속 이행하라! 이행하라! 이행하라!" <br> <br>윤석열 대통령의 간호법 제정안에 대한 거부권 행사에 반발한 간호사협회는 내년 총선에서 정치적 응징을 예고했습니다. <br> <br>[김영경 / 대한간호협회 회장] <br>"불의한 정치인과 관료들을 2023년 총선 기획단 활동을 통해 단죄하고 파면하는 투쟁을 전개할 것을 선언하는 바이다" <br> <br>단체 행동에도 나서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구체적인 방식은 결정되지 않았지만 간호사 면허 반납과 함께 진료지원 간호사들의 준법 투쟁이 논의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병원에서 전공의 역할을 대신하는 진료지원 간호사가 업무를 중단하면 수술 등의 의료 행위에 차질이 생길 수 있습니다. <br> <br>정부는 간호사의 처우 개선을 약속하며 간호사 달래기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[조규홍 / 보건복지부 장관] <br>"간호인력지원 종합대책을 착실히 이행하여 간호사의 근무환경을 국가가 책임지고 개선하겠습니다" <br> <br>간호법 제정에 반대해온 대한의사협회 등 13개 보건의료단체는 내일로 예고했던 총파업을 유보했습니다. <br> <br>[박명하 / 대한의사협회 비대위원장] <br>"17일 계획한 연대 총파업은 국민의 건강권을 지켜야한다는 고뇌 끝에 국회 재의결시까지 유보할 것이며…" <br> <br>의사단체들은 다만 금고 이상의 형을 받을 경우 의사 면허를 취소하는 개정 의료법에 대해 거부권이 행사되지 않은데 대해 아쉬움을 드러냈습니다. <br> <br>헌법소원을 추진하는 동시에 정부와 여당에 법 개정을 요청하고 나섰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용성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한일웅, 윤재영, 김명철, 김래범 <br>영상편집: 배시열<br /><br /><br />김용성 기자 drago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