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지하철 탈 때면 공기 안 좋다고 느끼는 분들 많으시죠.<br> <br>그래서 공기청정기가 있긴 하던데 서울시 감사 결과가 성능 미달이었습니다.<br> <br>김예지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서울 지하철 종로5가역. <br> <br>대형 공기청정기가 설치돼 있습니다. <br> <br>[이혜리 / 서울 노원구] <br>"미세먼지 있고 하니까 마스크를 못 벗죠. 어떻든 간에 눈으로 보니까 청정기니 뭐니 해놨길래 위안이 되죠." <br> <br>하지만 승강장 초미세먼지 농도는 세제곱미터 당 128.8㎍. <br> <br>지하철역사 밖은 초미세먼지 '보통' 수준인데 역사 안은 '매우 나쁨' 수준을 훌쩍 뛰어 넘습니다.<br> <br>[김현주 / 서울 강남구] <br>"(공기청정기) 관리가 안 될 것 같다는 생각이 가장 크고요. 공기 순환이 안 되는 느낌 때문에 더 숨쉬기가 힘든." <br> <br>서울시 감사 결과, 공기청정기 일부가 성능 기준에 못 미치고 필터 관리도 제대로 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> <br>서울 지하철에 설치된 3개 업체의 공기청정기를 각 한 대씩 지정해 사용 중이던 필터 그대로 놓고 측정했더니 미세먼지 제거능력이 업체가 표시한 기준치의 60~70% 수준에 그쳤습니다. <br> <br>풍량 성능도 기준 미달이고, 에너지 소비효율 등급을 표시하지 않은 제품도 있었습니다. <br> <br>새 필터로 바꾼 후 검사했을 때는 1개 제품이 표시 값보다 성능이 떨어졌습니다. <br> <br>2019년부터 서울 지하철에 설치된 공기청정기는 모두 4천690여 대, 200억 원에 가까운 예산이 들었습니다. <br> <br>[서울교통공사 관계자] <br>"저희 공사도 공인기관을 통해 공기청정기 성능 평가를 진행 중에 있습니다. 이 평가 결과에 따라서 보완 조치할 수 있도록." <br> <br>서울시 감사위원회는 서울교통공사에 성능 보완 등 개선 방안을 마련하라고 통보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예지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이승훈 한일웅 <br>영상취재 : 형새봄<br /><br /><br />김예지 기자 yeji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