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청년들 생활이 워낙 팍팍하다 보니 대학생 등록금 지원 두고 여야가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. <br><br>민주당은 소득이 없는 모든 졸업생들 학자금 대출 이자를 면제해주는 안을 국회 교육위에서 단독 통과시켰죠. <br> <br>고소득자 자녀도 꼭 지원해야 하느냐? <br><br>당정은 맞불 성격으로 저소득층에 한해 등록금 100%를 지원해주는 안을 검토 중입니다. <br> <br>여러분은 어느 쪽에 마음이 가십니까.<br> <br>강병규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><br>[기자] <br>당정이 국가장학금을 개편해 기초수급, 차상위계층 학생들의 지원을 늘리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. <br> <br>저소득층에 한해 최대 700만 원까지인 국가 장학금 한도를 풀어 전액 지원받도록 하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지원안이 확정되면 학비가 비싼 의대를 포함해 평균 757만 원 수준인 사립대 등록금 모두 보장할 수 있게 됩니다.<br> <br>[하승현 / 서울 마포구] <br>“한 학기에 몇백만 원씩 학비를 내는 게 저소득가구에는 부담이 될 수 있다 생각해서 긍정적인 정책이 아닌가…” <br> <br>[임영서 / 서울 서대문구] <br>“범위가 저소득층에만 국한되지 않고 확장이 됐으면 좋겠어요. 다 같이 부담이 되는 항목이라고 생각해서…" <br> <br>저소득층에 초점을 맞춘 당정 검토안은 소득 무관하게 혜택을 주는 민주당의 학자금 무이자 대출법에 대한 맞대응 차원입니다. <br> <br>민주당은 어제 교육위에서 졸업 후 일정 소득이 없을 경우 학자금 대출 이자를 면제해주는 내용을 단독 통과시켰습니다.<br> <br>월 소득 1천만 원에 달하는 가정의 학생까지 이자 면제 혜택을 주는 게 맞느냐는 논란이 있습니다. <br> <br>[이태규 / 국민의힘 교육위 간사(어제)] <br>"어렵고 가난한 계층에 먼저, 더 많이 분배해서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로잡으려는 노력이 사회적 형평성과 정의에 더 맞다고 생각합니다." <br> <br>[김영호 / 더불어민주당 교육위 간사(어제)] <br>"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에게 1만 원 이자 지원이 과연 포퓰리즘 정책인지 묻고 싶습니다." <br><br>대학생 학자금과 관련해 선별복지나 보편복지냐 논쟁이 재연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강병규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이호영 <br>영상편집: 김태균<br /><br /><br />강병규 기자 be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