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10여 년 전 경상남도가 20억 원 예산을 들여 만든 거북선이 단돈 154만 원에 낙찰됐습니다. <br><br>심각한 예산낭비죠. <br> <br>채널A가 긴급 점검해보니 인근 통영시와 사천시 거북선도 애물단지 취급을 받고 있었습니다. <br> <br>배유미 기자가 그 사연을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거북선 선체 곳곳이 움푹 파이고 떨어져 나갔습니다. <br> <br>파편들이 바닥에 나뒹굽니다. <br> <br>지난 2010년 경상남도가 원형 그대로 복원한다며 20억 원을 들여 만든 거제시 거북선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만들자마자 가짜 논란에 휘말렸습니다. <br> <br>국내산 금강송을 썼다더니, 실제론 싸구려 수입목재를 썼습니다.<br><br>원래 바다에 띄워 관광 자원으로 쓸 계획이었지만 흔들림이 심하고 물까지 새면서 1년 만에 육지로 옮겨졌습니다. <br> <br>그동안 부식이 심해지면서 지난해까지 수리비만 1억 5천만 원 넘게 썼습니다. <br> <br>[경남 거제시 관계자] <br>"멀쩡해 보이지만 안에는 스티로폼처럼 섬유화돼 있거든요. 손가락이나 이런 걸로 긁으면 그냥 푹 들어갑니다." <br> <br>결국 거북선 처분에 나서 여덟차례 입찰 끝에 새 주인을 찾았는데, 낙찰가는 단 돈 154만 원. <br> <br>이마저도 실제 계약이 성사될 진 확신할 수 없습니다. <br> <br>[경남 거제시 관계자] <br>"이 분이 가져가시려고 해도 공사를 하고 가야 되기 때문에 한 1억 원 정도의 경비는 소요된다고 보이죠." <br><br>애물 단지는 거제시 거북선뿐이 아닙니다. <br> <br>경남 통영시는 29억 원을 들인 거북선 2척과, 판옥선까지 운영 중인데 선박 검사비와 보험비가 연간 1억 원까지 듭니다. <br> <br>[경남 통영시 관계자] <br>"수지는 당연히 안 맞죠. 통영이라는 상징성도 있고 꼭 경제성만 생각할 수 있는 부분은 아니니까." <br> <br>10억 원을 들여 만든 경남 사천시 거북선 전시관은 관광객 수 조차 집계되지 않습니다. <br> <br>[경남 사천시 관계자] <br>"해놓고 특별하게 안에서 뭘 하는 게 아니라서. 삼천포 대교 공원 쪽에 오시는 분들이 왔다가 보고 가시는 개념이라서. " <br> <br>10여 년 전 영화 흥행과 함께 분 이순신 열풍에 너도나도 나섰던 거북선 마케팅, 예산만 축내는 신세로 전락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배유미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김덕룡 <br>영상편집 : 정다은<br /><br /><br />배유미 기자 yum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