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내 양대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와 다음이 개편에 들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먼저 댓글의 역기능을 줄이기 위해 뉴스 댓글 서비스를 바꿉니다. <br /> <br />다음은 현재 고정형 댓글에서 벗어나 채팅처럼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는 '타임톡'을 선보이는데요. <br /> <br />네이버는 악성 댓글 집중 관리에 들어가, 다음 달 1일부터 규정 위반 댓글로 이용이 제한된 작성자의 프로필에는 해당 상태가 노출됩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더해 주요 이슈를 한눈에 보여주는 새로운 서비스도 제공합니다. <br /> <br />다음은 온라인에서 언급량이 늘어난 키워드를 보여주는 '투데이 버블'을, 네이버는 생성형 인공지능이 무작위로 주제를 선정하는 '트렌드 토픽' 베타 테스트에 들어갔는데요. <br /> <br />그런데 이를 두고 정치권에서 과거에 폐지된 '실시간 검색어' 서비스와 다를 바 없다며 '실검 부활 꼼수'라는 비판이 쏟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내년 총선을 앞두고 실검 부활을 통해 영향력을 높이려는 게 아니냐며, 실검은 여론 조작에 이용될 수 있다는 지적이 여권을 중심으로 이어졌는데요. <br /> <br />이에 양사는 각 서비스가 실검과는 다를뿐더러 '정치'는 추천에서 제외한다고 밝혔지만, 연이은 맹공에 결국 서비스 폐지를 검토 중이라는 보도까지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포털의 개편은 사실 SNS에 뺏긴 영향력을 되찾기 위한 거란 분석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언론진흥재단의 조사를 보면, 포털에서 뉴스를 접하는 비중은 2017년과 비교해 8% 감소했지만, 같은 기간 SNS를 통한 뉴스 이용은 6% 늘었는데요. <br /> <br />특히 유튜브 같은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에서 뉴스를 보는 비율이 최근 4년 사이 20%나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게다가 실검이 자취를 감춘 사이, 유튜브나 트위터 같은 해외 플랫폼은 각각 '인기 급상승 동영상'과 '트렌드' 메뉴를 통해 최근 이슈를 궁금해하는 이용자들의 대체제가 되기도 했는데요. <br /> <br />포털의 변화로 댓글 문화가 건강해지고 뉴스 플랫폼 이용의 변화를 끌어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윤보리 (ybr0729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519195056049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