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주방의 김치 냉장고 한번쯤 확인해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. <br> <br>낡고 오래된 김치냉장고가 또 불을 냈는데요. <br> <br>해당 제조사와 정부가 돈을 받지 않고 점검을 해 주겠다고 나섰는데도 여전히 4만 대 넘게 그냥 쓰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기상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고층 아파트 베란다에서 붉은 불길이 뿜어져 나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아, 실외기에서 (불) 나는 것 같다…어우" <br> <br>베란다에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새카맣게 탄 물체는 김치냉장고. <br><br>이번에도 김치냉장고가 화재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[국가기술표준원 관계자] <br>"기판 안에 먼지가 쌓이면 그게 하나의 길이 돼요. 전기가 흐르는 길. '먼지에서 스파크가 일어나서 불이 난다' 저희는 그렇게 추정하고 있는 거죠." <br> <br>2005년 9월 이전에 만들어진 위니아 딤채 김치냉장고로 3년째 리콜 조치를 하고 사용중단까지 요구하고 있지만 화재는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. <br><br>실제로 2020년 12월부터 최근까지 김치냉장고 화재만 443건에 달합니다. <br> <br>지난 연말 기준 여전히 시중에 깔려 있는 해당 제품은 4만 7천여 대. <br><br>보다 못한 국가기술표준원은 '부모님 댁, 김치냉장고 점검' 캠페인까지 벌이고 있습니다. <br><br>냉장고 앞면 에너지 소비효율 등급 스티커에 있는 모델명이나 형명을 확인한 뒤 업체 홈페이지나 전화로 신청하면 됩니다. <br> <br>[위니아 상담원] <br>"모델명 확인되셨고요. 엔지니어가 방문해서 기계실 쪽 먼지를 청소해드리고 화재 예방과 관련된 작은 부품을 교체 받을 수 있는 모델입니다." <br> <br>출장비나 수리비는 모두 무료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기상입니다.<br> <br>영상편집 : 정다은<br /><br /><br />이기상 기자 wakeup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