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'신의 직장'으로 불리는 공공기관 연봉이 공개됐습니다. <br> <br>기관장이 아니라 직원 평균 연봉이 1억이 넘는 기관이 15곳, 그 중 9곳은 올해 1분기 상장사 중 영업이익이 가장 높았던 현대차 평균 연봉보다도 높았습니다. <br> <br>안건우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공무원처럼 안정적이면서도 보수는 상대적으로 높아 인기인 공공기관의 채용 박람회에는 매해 많은 취업 준비생들이 몰립니다. <br> <br>[주택도시보증공사 직원 (지난 2월)] <br>"인턴 선발되는 것도 쉽지 않은 것이 사실입니다. 워낙 많은 분들이 지원하시기 때문에." <br> <br>[김성태 / IBK기업은행장 (지난 2월)] <br>"(공공기관 면접에선) 성실성·열정·도전성 이런 부분들이 종합적으로 판단된다 보면 되겠습니다." <br> <br>신의 직장으로 불리는 공공기관의 지난해 보수는 어땠을까. <br> <br>공공기관 362곳의 정규 직원 평균 연봉은 약 7030만 원. <br><br>이 가운데 평균 연봉이 1억 원을 넘는 공공기관은 15곳이었습니다. <br><br>반도체와 통신망을 연구하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1억1700만 원으로 가장 높았고 한국투자공사가 1억1500만 원, 이어 산업은행과 기업은행, 한국기계연구원 순이었습니다. <br> <br>석·박사급이 주축인 연구원이거나 금융기관입니다.<br><br>특히 연봉 1위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시가총액 상위 기업과 비교해도 6위 수준입니다.<br> <br>공공기관 연봉 상위 9곳 직원들은 올해 1분기 상장사 가운데 최대 영업이익을 낸 현대자동차 직원들보다 많은 보수를 받았습니다. <br> <br>또 임명 때마다 낙하산 논란이 끊이지 않는 공공기관장의 지난해 평균 연봉은 1억 8500만 원이었습니다.<br><br>340곳 중 300곳의 상임기관장이 장관의 평균 연봉 1억 3718만 원보다 더 높은 보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안건우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: 김문영<br /><br /><br />안건우 기자 srv1954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