누리호, 우주 향해 기립…오후 발사 여부 촉각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누리호가 3차 발사를 위해 발사대에 기립했습니다.<br /><br />이제 우주로 향할 시간만을 기다리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가장 급박하게 돌아가는 곳이죠.<br /><br />나로우주센터 연결해 보겠습니다.<br /><br />배삼진, 임하경 기자 나와주시죠.<br /><br />[배삼진 기자]<br /><br />네, 나로우주센터에 나와 있습니다.<br /><br />어제 발사장으로 이송된 누리호는 현재 발사장에 우뚝 서 있습니다.<br /><br />정상적 절차가 진행된다면 앞으로 8시간 정도 뒤 우주로 향할 수 있게 됩니다.<br /><br />어젯밤까지 누리호와 연결된 탯줄, 엄빌리칼에서 점검이 있었지만, 특이사항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임하경 기자, 지금까지 상황을 본다면 날씨만 허락한다면 우주로 향하는데 이상 없는 것 아닙니까.<br /><br />[임하경 기자]<br /><br />그렇습니다, 지금 이곳 날씨는 그야말로 푸근한 5월의 기운이 가득합니다.<br /><br />사실 모든 준비가 다 돼 있다고 해도, 날씨가 허락되지 않는다면 우주로 날아오르는 것은 불가합니다.<br /><br />여기가 해안이다 보니 바람의 영향이 많은데요.<br /><br />때문에 연구진들이 가장 민감해하는 것도 바람입니다.<br /><br />지상의 경우 초속 15m 이상의 강풍이 불지 않아야 우주로 향할 수 있고요.<br /><br />비행경로 상에 번개도 없어야 합니다.<br /><br />[배삼진 기자]<br /><br />하늘 위 바람도 중요하다고 합니다.<br /><br />이 때문에 고층풍 측정을 위해 풍선까지 띄운다고 하죠.<br /><br />누리호 길이가 47m에 이르다 보니, 측면에서 부는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아 신경 쓸 부분들이 많다고 합니다.<br /><br />여기에 탑재 위성이나 계기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태양풍이나 지자기 교란까지 고려한다고 하는데요.<br /><br />정말 우리만 잘한다고 되는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[임하경 기자]<br /><br />네, 어제 오후 늦게 기상 상황 등을 점검하기 위한 발사관리위원회가 열렸는데요.<br /><br />오늘 비가 올 가능성은 매우 낮고요.<br /><br />바람도 초속 5m 이하로 불어 발사를 위한 기상 조건은 만족시킬 것으로 분석됐습니다.<br /><br />비행 궤적상에 낙뢰 가능성도 매우 낮은 것으로 관측됐습니다.<br /><br />[배삼진 기자]<br /><br />그럼, 그 외에 모든 점검은 마친 건가요.<br /><br />[임하경 기자]<br /><br />조립동에 있던 누리호가 발사대에 세워졌다는 건, 순조롭게 모든 과정을 마쳤다는 것을 의미합니다.<br /><br />1·2·3단 조립상태도 최종적으로 살피고 센서 등의 작동 여부도 점검했는데요.<br /><br />다만 누리호에 연결된 엄빌리칼에서의 기기 작동 여부는 다시 한번 점검이 이뤄질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앞서 2차 발사 때도 이 과정에서 센서 이상이 확인됐거든요.<br /><br />조립동에서의 점검이 끝이 아니고, 발사 직전까지 돌발변수가 있을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연구진과 제작진이 긴장할 수밖에 없는 이유입니다.<br /><br />[배삼진 기자]<br /><br />오늘 발사 예정 시간은 오후 6시 24분±30분으로 잡혀 있죠.<br /><br />정확한 발사 시각은 발사관리위원회가 열리는 오후 1시 반 이후에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발사 절차가 시작되면 어떤 과정을 거쳐 우주로 날아갈지 궁금해하시는 분들 많으실 것 같은데요.<br /><br />[임하경 기자]<br /><br />네, 일단 시나리오는 이렇습니다.<br /><br />이륙 후 2분 5초가 지나면 우선 가장 무거운 1단이 분리됩니다.<br /><br />지상에서 약 65km 지점입니다.<br /><br />발사체가 계속 상승하면서 이륙 후 3분 54초가 지나면 위성을 감싼 페어링이 분리됩니다.<br /><br />[배삼진 기자]<br /><br />1단이 분리되고 나면 순서대로 2단, 3단 이런 식으로 분리될 것 같은 데, 위성을 보호하기 위해 감싸고 있는 페어링이 먼저 분리된다는 거네요.<br /><br />[임하경 기자]<br /><br />네, 페어링의 무게가 만만치 않기 때문인데요.<br /><br />일단 지상에서 200km 이상 벗어나면 공기가 희박해져 결국 저항이 거의 없는 상태가 됩니다.<br /><br />이런 상황에서 무게가 줄어들면 연료 대비 비행 효율이 높아집니다.<br /><br />페어링이 분리된 뒤엔 2단이 분리되고요.<br /><br />3단에 올려져 있는 차세대 소형위성 2호와 큐브위성 7개가 차례로 분리됩니다.<br /><br />첫 위성 분리는 13분 3초 정도에 이뤄지고요.<br /><br />20초마다 큐브위성 1개씩이 사출되는데요.<br /><br />1,138초, 약 19분 정도면 모든 비행이 마무리됩니다.<br /><br />[배삼진 기자]<br /><br />누리호 발사가 재작년 1차, 작년 2차에 이어 이제 3번째인데요.<br /><br />1·2차 때와 다른 점이 있다면 무엇일까요.<br /><br />[임하경 기자]<br /><br />큰 차이점은 실제 위성을 싣고 간다는 점입니다.<br /><br />1차 발사 때는 위성 모사체를 실었습니다.<br /><br />가짜 위성이죠.<br /><br />1.5t짜리 인공위성 모양의 쇳덩이를 싣고 갔다고 볼 수 있는데요.<br /><br />2차 때는 위성 모사체와 함께 성능검증 위성과 큐브위성 4개가 탑재됐습니다.<br /><br />당시에도 무게는 1.5t으로 맞춰져 있었습니다.<br /><br />[배삼진 기자]<br /><br />사실 1, 2차 발사는 발사체인 누리호의 성능 검증에 더 초점이 맞춰져 있었던 것이죠.<br /><br />위성을 700km 상공까지 올릴 수 있을 것이냐를 중점적으로 살폈던 것이고요.<br /><br />하지만 1차 때 궤도를 돌기 위한 목표 속도인 초속 7.5km에는 도달하지 못하는 바람에 궤도에 안착하지 못하고 지구로 떨어져 버렸죠.<br /><br />[임하경 기자]<br /><br />맞습니다, 하지만 2차 발사는 성공했죠.<br /><br />위성도 제대로 분리됐고요.<br /><br />이번 3차 발사에 손님을 태운다는 의미는 누리호가 임무를 가진 8개의 위성을 싣고 우주로 떠난다는 건데요.<br /><br />이제까지는 검증 작업이었다고 보면, 3차는 실전이라고 얘기하는 게 바로 이런 이유입니다.<br /><br />누리호가 1단과 2단을 제대로 분리하고, 위성까지 목표 궤도에 안착하면 성공적 발사가 되는 겁니다.<br /><br />[배삼진 기자]<br /><br />이번에는 오류가 없길 바라는데, 2차 발사 때에는 기립한 상태에서 센서에 문제가 있었잖아요.<br /><br />다행히 단을 분리하지 않고 부품 교환을 통해 해결하면서 빠르게 다시 쏘아 올릴 수 있었는데요.<br /><br />그런 다양한 시행착오를 거친 것이 오히려 지금 우리의 기술을 탄탄하게 다지는 요소가 아닐까 봅니다.<br /><br />[임하경 기자]<br /><br />네, 연구진들은 맨땅에 헤딩이라는 표현을 쓰더라고요.<br /><br />30년간 수많은 시행착오가 켜켜이 쌓여 오늘의 누리호가 있게 된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[배삼진 기자]<br /><br />두 차례 누리호 발사를 통해 우리나라는 1.5t의 실용급 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자력으로 쏘아 올릴 수 있는 7번째 국가가 됐는데요.<br /><br />이번에는 임무 고도도 낮아지고, 탑재 중량도 줄었죠.<br /><br />[임하경 기자]<br />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