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■ 방송 : 채널A 뉴스 TOP10 (17시 20분~19시)<br>■ 방송일 : 2023년 5월 24일 (수요일)<br>■ 진행 : 김종석 앵커<br>■ 출연 : 노동일 파이낸셜뉴스 주필, 서정욱 변호사, 윤희석 국민의힘 대변인, 이승훈 민주당 전략기획위 부위원장<br><br>[김종석 앵커]<br>청년정치에 대해서 꽤 이재명 대표가 강조하기는 했는데. 그런데 실제로 또 다른 면에서는 이재명 대표의 강성 지지자들이 이 김남국 의원 코인 의혹에 대해서 기자회견을 연 청년정치인을 향해서 이런 일도 있었다. 어떤 현상으로 받아들이세요?<br><br>[노동일 파이낸셜뉴스 주필]<br>저 말이 바로 위에 있네요, ‘카톡 감옥’이라고. 저런 것 때문에 어떤 그 학교 어린 학생들이 극단적 선택을 하거나 그런 경우도 있었죠. 이재명 대표가 말을 참 잘하셨어요. 저럴 때 말은 칼이 된다고. 칼로 사람을 난자하는 것이나 마찬가지예요, 저것이. 그야말로 차라리 정말 물리적으로 한 대 때리는 것이 오히려 낫지, 저렇게 해서 계속 괴롭히면 저것은 정신적으로 아노미 상태에 이르는 것이죠. 저렇게 된 것을 보면 민주당, 이재명 대표가 저런 식으로 이야기 많이 했죠. ‘내부총질하지 말자.’라든가, 이야기했는데. 지금 민주당 상태를 보면 령이 전혀 서지 않는 그런 상황이에요. 정말로 혼돈 상태가 임계점을 향해 다다르고 있다는 생각이 들고요.<br><br>지금 한번 생각해 보십시오. 우리가 한참 동안 이재명 대표 사법 리스크를 이야기했잖아요.그런데 또 갑자기 드러난 것이 송영길 전당대회 돈봉투 사건이 또 벌어졌죠. 그다음에 또 한참 이야기하다가 또 김남국 의원 코인 사태가 또 벌어지면서 계속 그 이야기하고 있죠. 그 사건 하나만 벌어져도 이것이 굉장히 큰, 정말로 정치집단이 해체될 수 있는 그런 상황인데 이게 세 개가 계속 이어져 있고. 지금 잠잠해 있지만 없어진 것이 아니잖아요, 이런 것들이. 그런 것을 보면 이것은 정말 임계점을 향해 다다르고 있고. 과거 민주당. 정말 김대중, 노무현 이런 대통령이 이어오면서 우리나라의 민주주의 한 축을 담당해온 중견 역할을 한 정당인데, 이렇게까지 정말 아수라장인 집단이 되어버렸다? 이것은 정말 아쉬운 일이라고 할 수밖에 없죠.<br><br>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<br>*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.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<br>* 정리=도혜원 인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