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코로나 때 한시적으로나마 비대면 진료가 됐던 게 종료됩니다. <br> <br>다음달부터 시범사업으로 제한적으로만 허용되는데요.<br> <br>안그래도 힘들다는 '소아과 오픈런', 얼마나 심해질런지 아이 키우는 부모들 걱정이 태산입니다.<br> <br>서주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지난 3년간 비대면 진료앱을 통해 아이의 소아과 진료를 받은 윤하영 씨. <br> <br>경남 지역에 살 땐 차로 40분 정도 가야 소아과 진료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. <br> <br>[윤하영 / 소아 보호자] <br>"밤에 애가 열 나거나 아프면 저희는 진짜 선택 사항이 없었거든요. (비대면으로) 빠르게 바로 진료받고 처방전까지 받아서…" <br> <br>코로나19 확산 이후 한시적으로 허용됐던 비대면진료가 이번 달 종료되고 다음 달부터 '시범사업' 형태로 제한적으로 시행됩니다. <br> <br>코로나19 위기단계가 낮아져 비대면 진료를 허용할 법적 근거가 사라지기 때문입니다. <br><br>초진을 제외한 재진 환자부터 비대면 진료가 가능하고, 섬·벽지 환자, 거동불편자 등만 예외적으로 초진이 허용됩니다.<br> <br>정부는 소아도 야간과 공휴일에 한해 비대면 초진을 허용하는 방안도 검토 중입니다. <br> <br>최근 호흡기질환 확산으로 소아과 오픈런까지 벌어지는 실태를 무시할 순 없는 상황입니다. <br> <br>[김휘연 / 경기 파주시] <br>"알고 지내던 소아과도 지금 문을 닫아서 못 가게 됐거든요. 이제는 왔다 갔다 하면서 진료를 받아야…" <br> <br>[서진영 / 서울 마포구] <br>"아이들이 소아과 진료를 제대로 못 받고 있는 환경에서 비대면진료를 받으면 아무래도 부모 입장에서는 안심이 되고…" <br> <br>비대면 의료 플랫폼업체들도 의료 편의 혜택이 후퇴하고 있다며 반발합니다. <br> <br>반면 의사단체는 부실 진료 가능성을 이유로 반대하고 있습니다. <br><br>표현이 서투르고 증상이 비전형적인 소아청소년 환자 특성상 대면 진료가 더욱 중요하다는 겁니다 <br> <br>정부는 이달 말까지 각계 의견을 반영해 세부 내용을 보완 확정할 방침입니다 <br> <br>채널A 뉴스 서주희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 : 김명철 장명석 <br>영상편집 : 김지향<br /><br /><br />서주희 기자 juicy12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