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에이 시작합니다.<br> <br>저는 동정민입니다. <br> <br>우주 강국으로 가는 길이 쉽지만은 않습니다. <br> <br>예상대로라면 지금 이 시각 하늘을 날고 있어야 할 누리호가 아직 발사대에 있습니다. <br> <br>오후 6시24분 발사 예정이었죠.<br> <br>예정 시각 세 시간 전 연기됐습니다. <br> <br>처음으로 우리가 만든 실용 위성까지 태워서 기대가 컸었는데요. <br> <br>큰 문제는 아니라는데 언제 다시 쏠지 나로우주센터 나가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<br><br>[질문1] 정현우 기자, 어떤 이유로 발사가 미뤄졌나요? <br><br>[기자]<br>문제가 발견된 건 발사를 3시간 여 앞둔 오후 3시쯤입니다. <br><br>누리호에 연료와 추진제를 주입하기 직전 컴퓨터 간 통신 이상 문제가 발생했습니다. <br><br>발사 전체를 진행하는 제어 컴퓨터와 발사대 설비를 제어하는 컴퓨터 사이에 통신 오류가 발견된 겁니다. <br> <br>[고정환 / 항공우주연구원 본부장] <br>"이전에 1차, 2차 발사 한 번도 발생하지 않았던 문제이고요. 저희가 여러 번 리허설을 했는데 그 과정에도 발생하지 않았던 문제입니다." <br> <br>지난해 2차 발사 때는 발사체 부품 이상과 강풍으로 연기됐는데요. <br><br>이번에는 발사체 자체의 문제는 아니라는 게 항우연 측 판단입니다. <br><br>[질문2] 그럼 언제 발사할 수 있는 건가요?<br><br>연구진은 오늘 누리호를 기립 상태로 둔 채 원인 파악에 나섰는데요. <br> <br>내일 오전까지 재발 방지를 위한 조치까지 마칠 경우 당장 내일 오후에라도 발사는 가능합니다. <br><br>만약 내일 3차 발사에 나선다면 오늘 계획처럼 6시 24분 전후 30분 안에 발사가 이뤄지게 됩니다. <br><br>항우연은 발사체에 실린 8개 위성 중 주탑재 위성은 일주일까지 기립 상태에서 버틸 수 있는 것으로 파악했습니다. <br> <br>[고정환 / 항공우주연구원 본부장] <br>"일주일 정도 버틸 수 있다라는 언급을 주셨고 만약에 필요하면 발사대에서 지금 기립한 상태로 차세대 소형위성 2호는 충전이 가능하다." <br> <br>하지만 내일 발사를 하지 못하면 날씨가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. <br> <br>29일 비 예보가 있고 30일과 31일엔 다소 흐릴 것으로 예보됐습니다. <br> <br>구체적인 발사 시점은 내일 오전 다시 열릴 발사관리위원회에서 결정될 예정입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전해드렸습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이기상 김래범 <br>영상편집 : 이승근<br /><br /><br />정현우 기자 edge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