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온 국민 숨죽인 ‘18분 58초’…누리호 발사 과정은?

2023-05-25 1,822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발사가 하루 미뤄졌던 터라 카운트 다운을 하면서 더 숨죽이게 되던데요. <br> <br>모두가 한마음으로 성공을 바라며 숨죽였던 발사 후 18분 58초, 그 과정을 곽민경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 <br><br>[기자]<br>오전 11시 열린 누리호발사관리위원회에서 한차례 미뤄진 누리호 3차 발사 시각을 결정했습니다. <br> <br>[오태석 /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] <br>"오늘 18시 24분, 정각 발사를 목표로…" <br><br>어제 오후 3시 발사대 제어시스템의 내부 명령 오류를 발견한 뒤 14시간의 밤샘 수리, 6번의 반복 시험을 거쳐 다시 도전에 나선 겁니다.<br> <br>오후 3시 40분 연료와 산화제 충전이 시작되고, 오후 5시 37분 기립장치가 철수됩니다. <br><br>발사 10분 전부터 시작된 카운트다운. <br><br>오후 6시 24분이 되자 새빨간 불꽃과 함께 힘차게 날아오릅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누리호가 발사됐습니다." <br><br>총 길이 47.2m, 아파트 15층 높이로 200톤의 무게가 나가는 누리호가 2분 5초 만에 1단을 분리하고, 고도 204km쯤에서 위성 보호 덮개인 페어링을 분리한 뒤 발사 4분 32초 만에 2단을 분리합니다. <br> <br>13분 넘게 순항하며 고도 550km에 도달하면 북극 해빙 탐지 등의 임무를 맡은 주탑재위성 '차세대 소형위성 2호'를 분리합니다.<br> <br>이후 지구 관측 위성과 우주 방사능 측정 위성, 우주 환경 관측 위성까지. <br><br>7개의 큐브 위성을 20초 간격으로 밀어냅니다. <br><br>18분 58초 동안 포물선을 그리며 진행된 누리호의 3차 비행. <br> <br>분리된 1단과 페어링, 2단은 우리나라에서 최대 2804km 떨어진 필리핀 동쪽 태평양에 낙하했습니다.<br> <br>연구진들도 긴장한 모습으로 누리호의 비행을 지켜봤습니다. <br> <br>누리호와 함께 자력 우주 개발의 꿈도 날아올랐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곽민경입니다.<br> <br>영상편집: 유하영<br /><br /><br />곽민경 기자 minkyung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