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에이 시작합니다.<br> <br>저는 동정민입니다. <br> <br>하루 늦었지만 누리호가 힘차게 하늘을 날고 있습니다. <br> <br>어제 하루 연기되면서 걱정도 됐지만 36분전 발사돼 성공적으로 비행을 마쳤습니다. <br><br>이번이 3차 발사죠 <br> <br>1차, 2차 때 우리 기술로 만든 발사체 성공 확인했고, 이번 3차 땐 발사체에 승객을 태웠습니다. <br><br>우리가 만든 실용 위성이 승객입니다. <br> <br>이 위성으로 정보도 얻을 수 있고 돈도 벌 수 있다는데요. <br> <br>아직 완전한 성공으로 단정할 순 없습니다. <br><br>현장 연결해볼까요? <br><br>[질문1] 정현우 기자, 발사 잘 된 거죠?<br><br>[기자]<br>네, 먼저 조금 전 발사 장면 보시고 설명 이어가겠습니다. <br><br>[현장음]<br>"3, 2, 엔진점화 이륙!" <br> <br>오늘 발사 여부와 시각은 오전 11시에 열린 발사관리위원회에서 결정됐는데요. <br> <br>어제 발견된 통신 오류가 해결됐고 기상 상황, 우주 물체와의 충돌 가능성을 고려해 발사 시각을 어제와 같은 오후 6시 24분으로 결정한 겁니다. <br> <br>주탑재 위성인 차세대 소형위성 2호를 비롯한 위성 총 8기는 일단 발사체에서 정상적으로 사출됐습니다. <br><br>궤도 안착 여부는 7시 50분 예정된 정부 브리핑을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위성들이 제 궤도에서 교신까지 성공하게 되면 우리나라는 발사체와 실용 위성을 모두 직접 만들고 발사까지 성공한 세계 10번째 국가로 기록됩니다. <br> <br>[질문2] 어제 발사 세 시간 전에 미뤄졌는데 다행히 하루 만에 잘 고쳤네요?<br><br>연구진은 어제 오후 3시 기술 오류가 발견되자마자 원인 파악에 나섰습니다. <br><br>연료 충전을 하기 전에 발사체를 냉각시키는 헬륨을 지상 탱크에서 발사체로 넣어줘야 하는데요. <br> <br>통신 오류 탓에 탱크 밸브가 열리지 않았던 겁니다. <br><br>14시간 동안 이어진 밤샘 작업 결과 연구진은 지상 설비를 제어하는 컴퓨터에서 오류를 파악해 새벽 5시쯤 문제를 해결했습니다. <br> <br>[고정환 / 항공우주연구원 본부장] <br>"혹시나 하는 마음에 2배 정도 해서 6번 정도 시험을 했고 6번 다 무사히 잘 통과해서 괜찮다고 판단을 했습니다." <br> <br>지금까지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전해드렸습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이기상 김래범 <br>영상편집 : 배시열<br /><br /><br />정현우 기자 edge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