각종 부동산 규제 완화 등에 힘입어 급매물이 소진되고 거래가 증가하면서 서울 아파트값이 1년여 만에 상승 전환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경기 침체 우려와 역전세난 등이 여전해 추세적 상승으로 보기는 어렵다며 신중한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이동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3천4백여 가구에 이르는 서울 반포동 반포 자이 아파트. <br /> <br />최근 전용면적 165㎡가 50억 원에 팔렸습니다. <br /> <br />이 면적의 최고가는 2021년 12월 52억 원이니까 거의 전고점을 회복한 것입니다. <br /> <br />전용 84㎡도 올 초 28억 원대까지 떨어졌다가 최근 32억 5천만 원에 거래되는 등 4억 원 정도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[서울 반포동 부동산중개업소 : 물건이 많이 빠지니까 급매들은 많이 빠졌죠. 이제 파실 분들은 다 파셔서 급하게 파실 분들은 잘 없어요. 여기는 동네가 반포동이다 보니까 계속 사람들이 많이 인기가 있어서 계속 관심 가지고 많이 찾으시죠.] <br /> <br />이처럼 송파, 강남, 서초, 강동 등 강남4구 아파트가 강한 상승세를 보이며 이번 주 서울 아파트 값은 1년여 만에 상승 전환했습니다. <br /> <br />[박원갑 /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 전문위원 : 지속적인 규제 완화 효과에 15억 원 대출 제한 폐지 그리고 특례 보금자리론이 출시된 데다가 지난해에 낙폭 과대에 따른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반등한 것으로 분석됩니다.] <br /> <br />실제로 지난달 서울에서 직전 거래가보다 높은 가격에 팔린 상승 거래의 비중은 46.1%로 1년 만에 처음으로 하락 거래를 앞질렀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3천155건으로 1년 8개월 만에 최다치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10월 5백여 건에 비하면 5배 넘게 급증한 것입니다. <br /> <br />이 같은 지표 호전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은 경기 침체 우려 등이 여전해 추세적 상승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진단합니다. <br /> <br />[고종완 / 한국자산관리연구원 원장 : 경기 침체 우려와 전셋값 하락에 따른 역전세난으로 추세 상승을 점치기에는 역부족입니다. 다만 입지와 주거 선호도, 지역 발전 가능성 등에 따른 집값 양극화 현상은 더 심화될 전망입니다.] <br /> <br />서울 아파트 전셋값도 17주 연속 하락 폭을 줄인 끝에 이번 주에는 0.01% 오르며 1년 4개월 만에 상승으로 돌아섰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동우입니다. <br /> <br />영상편집 : 김희정 <br />그래픽 : 이은선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동우 (dwle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525205248162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